X

농식품부, 완주 두레농장 등 9개 사회적농업 사업 지원

김형욱 기자I 2018.04.30 15:17:26

한곳당 6000만원…"어려운 이웃 돌봄 체계 확산 기대"

완주사회적경제네트워크 로고. (이미지=완주사회적경제네트워크 홈페이지)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발달장애 아동과 가족이 마을 고령농과 함께 농사짓는 전북 완주 두레농장이 올 한해 6000만원의 정부 지원을 받게 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 시범사업’ 대상 조직 아홉 곳을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사회적 농업이란 농업을 통해 장애인이나 고령자를 돌보고 교육시키고 일자리를 제공하는 활동이다.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다. 농촌 지역 문제를 농촌 스스로 해결하는 공동체를 만들자는 취지다. 농식품부는 이를 활성화하고자 올해 3억7800만원의 예산(국고)을 들여 아홉 곳에 6000만원(국고 70%·지방비 30%)씩 지원키로 하고 2~3월 신청을 받았다. 이 결과 65곳이 지원을 신청했고 서면·현장·대면 심사를 거쳐 지원할 아홉 곳을 최종 선정했다.

정부는 ‘완주사회적경제네트워크’ 외에 만성 정신질환자 직업 재활을 프로그램을 하는 충남 홍성 ‘행복농장’, 청년농 정착을 지원하는 경북 청송 ‘청송해뜨는농장’, 고령농과 귀농인 연결하는 전남 영광 ‘여민동락’ 등을 선정했다. 그 밖에 △농촌공동체연구소(충북 제천) △성원농장(충북 보은) △무주팜앤씨티(전북 무주) △야호해남(전남 해남) △선거웰빙푸드(전북 임실) 등이 있다.

농식품부는 이곳에 자금 지원과 함께 전문가 상시 컨설팅을 제공해 한국형 사회적 농업 모델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연말께 사회적농업법 제정도 추진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내고향·내집에서 여생을 보내기 바라는 노인과 성인이 되면 갈 곳이 없어지는 장애인, 일자리가 없어 농촌을 떠나는 청년 등은 우리가 돌봐야 할 사람들”이라며 “사회적 농업 확산으로 이들을 위한 돌봄 체계가 구축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