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ETRI, 5G 엣지 보안 기술 개발 나선다

김현아 기자I 2020.08.19 17:49:59

4년간 성균관대, SGA솔루션즈, SKT, 윈스, LG U+ 등과 진행
빅데이터 기반 보안위협 분석 및 탐지 AI 기술 개발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5G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보안 기술 개발에 나선다. 제4차 산업혁명 핵심 인프라를 안전하게 보장하고 다양한 융합서비스를 활성화하는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9일 5G 엣지 네트워크(Edge Network Edge Network·5G망에서 단말과 물리적으로 가까운 기지국부터 지역 또는 광역국사까지의 초기 접속 구간)와 멀티 액세스 엣지 컴퓨팅(MEC Multi-access Edge Computing. 사용자의 서비스를 중앙 집중식 클라우드가 아닌 사용자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엣지 네트워크에서 처리하여 네트워크 지연을 줄이고 위치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잠재적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핵심 기술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 과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정보보호 핵심원천 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4년간 수행되며 ETRI가 주관기관을 맡고 성균관대학교, SGA솔루션즈, SK텔레콤, 소만사, 숭실대학교, 시스메이트, LGU+, 윈스가 참여한다.

ETRI는 코어망 경계 중심의 보안위협 대응에서 벗어나 융합서비스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5G 엣지 시큐리티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다.

연구진이 개발하는 기술은 ▲5G 엣지 네트워크 보안 기술 ▲MEC 및 컨테이너 보안 기술 ▲인공지능 기반 보안 위협 분석 및 관제 기술 등이다.

‘5G 엣지 네트워크 보안’기술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에서 포착되는 비정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허위 기지국 등을 통한 침투 시도를 탐지하는 기술이다. 이동통신사 및 사설 MEC 보호를 위한 실시간 침해위협 탐지·차단 하드웨어 플랫폼도 개발한다.

‘MEC 및 컨테이너 보안’기술은 가상화 플랫폼과 실행 중인 컨테이너 클라우드 환경에서 응용을 쉽게 배포하고 빠른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가상화 기술의 이상 징후를 탐지하여 비인가된 접근을 통제하고 정보 유출을 차단하면서 응용 소프트웨어의 무결성 검증 등을 위해 개발하는 기술이다.

‘지능형 보안위협 분석 및 관제’기술은 엣지 네트워크와 MEC로부터 취합된 보안상황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보안 위협을 탐지한다. 특히, 코어망과의 위협 정보를 공유해 5G 전역에 걸쳐 인프라 보안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 개발 내용을 담고 있다.

연구진은 개발된 기술들을 스마트팩토리에 적용하여 5G MEC 기반 B2B 융합서비스 보안 실증을 통한 및 기술 실효성 검증도 추진할 계획이다.

총괄책임자를 맡은 ETRI 정보보호연구본부 박종근 박사는“네트워크 환경 변화에 따라 5G 엣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선제적으로 분석·탐지·대응함으로써 5G 네트워크 인프라와 5G+ 융합서비스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ETRI 문대성 네트워크·시스템보안연구실장도“ETRI가 지닌 네트워크 보안 및 클라우드 보안 기술을 바탕으로 코어망 뿐 아니라 5G 엣지 등 네트워크 전 영역에 걸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