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르노삼성차 임단협 ‘강대강’ 대치…노사갈등 악화일로

이소현 기자I 2019.02.28 16:10:51

신규투자·구조조정 중단 촉구…공동집회 계획
"1100억원대 손실"…부산공장 정상화 요구

28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르노삼성자동차노동조합과 금속노조, 민주노총이 르노삼성차 부산공장 노조 파업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공동투쟁 결의 내용을 밝히고 있다.(사진=르노삼성차)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르노삼성자동차의 2018년 임금 및 단체협상을 놓고 노사간 갈등이 점입가경이다. 사측의 대화 제안을 거부하고 파업에 나선 노조는 투쟁의지를 불태운 한편, 협력사는 잇단 파업에 고사위기 직전이라며 임단협의 조속한 촉구를 요구하고 나섰다.

르노삼성차 노조는 8일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르노삼성차 금속노조, 민주노총 부산본부, 전국금속노조 부산·양산지부와 공동투쟁을 결의했다.

노조는 “르노삼성차가 인력을 감축하고 작업을 외주로 돌려 비정규직을 양산하면서 지역 경제를 추락시키고 있다”며 “모회사인 르노그룹도 신차 투입 등 투자계획 없이 소극적인 경영으로 자본 회수의 우려마저 낳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르노삼성차를 위한 실질적인 투자계획을 밝히고 구조조정 중단 등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며 “앞으로 대규모 공동집회, 조합원 교육, 대국민 선전전 등 공동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노조는 지난 26일 도미닉 시뇨라 르노삼성차 대표가 제안한 17차 임단협 본협상을 거부하고 27~28일 이틀간 주·야간 4시간씩 부분파업에 돌입했다.

부분 파업으로 작업이 멈춰있는 르노삼성차 부산공장(사진=르노삼성차)
반면 르노삼성차 협력업체는 위기를 호소하고 나섰다. 르노삼성차 협력업체와 부산상공회의소는 이날 공동성명서를 발표하고 임단협의 조속한 타결을 촉구했다.

협력업체들은 “지난해 말부터 르노삼성차 생산감소와 불안정한 가동으로 이미 1100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며 “여기에 2차, 3차 협력사들의 피해까지 고려하면 지금까지의 파업만으로도 회복이 어려운 수준”이라고 토로했다.

르노삼성차의 한 협력업체 대표는 “르노삼성차가 한번 파업을 할 때마다 우리 회사는 5000만원씩 직접적인 손실을 본다”며 “앞으로 신차 물량 확보가 불투명해 지면 회사 경영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박인호 부산시민단체 대표는 “르노삼성 협력업체 중 부산·경남 지역에 있는 90곳이 1조2000억원 이상의 매출로 전체 협력업체 매출의 55%를 차지하고 있고, 1만2000명 이상의 지역 인재들의 고용을 책임지고 있다”며 “소모전 양상의 노사대립이 지속하면 그만큼 지역 경제에도 큰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며 조속한 부산공장 정상화 요구에 목소리를 더했다.

역대 최장기간 파업으로 부산공장 생산성은 날로 감소하고 노사는 현재 협상 테이블에도 마주앉지 못하고 있어 앞으로 신차배정 여부는 안갯속이다.

르노삼성차 임단협 협상은 다음 주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시뇨라 대표가 신차 배정과 후속 물량 확보 등 경영 일정상 제시한 노사협상 데드라인은 다음 달 8일이다. 업계는 르노삼성차 부산공장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닛산 로그의 위탁생산이 올 9월 계약기간 종료 후 중단되면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부분파업으로 멈춰있는 르노삼성차 부산공장(사진=르노삼성차)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