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협치내각 수면 아래로..개각 초읽기, 전·현직 의원 망라

김영환 기자I 2018.08.23 17:07:14

靑 "큰 흐름에서 지금은 어려워졌다" 협치내각 사실상 무산
내주초 중폭 개각 가능성 커져
촉박한 일정 탓에 전현직 의원 대거 물망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이르면 내주께 장관 3~4명을 교체할 것으로 전해졌다. 9월 정기국회가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2~3주가 소요되는 인사청문회 일정을 고려하면 더이상 늦추기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3일 청와대에 따르면 각 부처 후보군이 2~3명 안팎으로 좁혀지면서 개각이 초읽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문 대통령의 재가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정청에 대한 지지율 하락세 속에 경제 정책이 논란을 빚으면서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개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그간 협치내각 문제를 놓고 청와대와 국회가 설전을 주고 받았지만 현시점에서는 접점 찾기에 실패한 모양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3일 “큰 흐름으로 봐서 지금은 어려워진 것 아닌가 싶다”라고 협치내각 가능성에 대한 분위기를 전했다.

더욱이 9월 정기국회로 인해 개각 구성을 더이상 미룰 수 있는 물리적 시간이 부족해짐에 따라 개각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같은 이유로 상대적으로 인사청문회 통과가 수월한 전·현직 국회의원들이 2기 내각에 참여할 것이라는 의견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개각 대상은 청와대와 국무총리실 업무평가에서 하위권에 머문 것으로 알려진 고용노동부와 교육부, 환경부, 법무부, 여성가족부 등이 거론된다. 교육부는 대입제도 개편 과정에서, 환경부도 재활용 문제로 지적받아 왔다. 여기에 기무사 항명 논란의 중심에 선 국방부 등도 가능성이 점쳐진다.

경제 문제에서 다소 문제점을 드러내면서 경제부처 수장 변화에 관심이 쏠린다.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유임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인 가운데 대신 산업통상자원부와, 고용노동부와 금융위원장 등 경제부처 장관 일부를 바꿀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로는 민주당 원내대표를 지냈던 김효석 전 의원과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일자리 문제와 노동문제 등을 다룰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에는 박영선 의원이,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는 김태년 민주당 정책위의장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환경부 장관 후보자에는 민주당 우원식 의원,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는 민주당 박범계 의원과 전해철 의원 등이 물망이 오른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