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산림청 장마철 산사태 예방 총력…620개소에 산악기상 관측망 구축

박진환 기자I 2017.07.03 17:42:07

산림청, 올해 산사태방지 종합대책 추진 방향 브리핑
위험 기간인 10월 15일까지 산사태예방지원본부 운영
경계피난 등 비구조적대책 등 균형있는 정책으로 전환
산사태 예경보 적기 발령 등 신속한 주민대피 유도키로

2011년 서울 우면산 산사태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사진=산림청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태풍 난마돌과 장마전선 북상으로 전국 곳곳에서 집중폭우로 산사태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산림청이 산사태 예방 및 대응에 행정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특히 대형산불로 지반이 약해져 토사유출에 취약한 강원 강릉·삼척 등 산불피해지역을 비롯해 지진 피해지역인 경북 경주 일원에 대해서도 산사태 예방활동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한 전국에 산재한 산사태 취약지에 대해서는 주민 대피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산사태 예·경보를 적기에 발령해 위기 시 신속한 대피를 유도하기로 했다.

산림청은 3일 이 같은 내용의 ‘2017년 산사태방지 종합대책’ 추진 방향과 추진 상황을 발표했다.

우선 지난 3월 산사태방지 종합대책을 수립, 전국 산사태 담당기관에 전달한 데 이어 산사태 위험이 높은 기간인 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산사태예방지원본부’를 운영하면서 전국 산사태 예방·대응 상황을 총괄한다.

산사태예방지원본부는 산림청장을 본부장, 산림청 차장을 부본부장, 산림보호국장을 총괄담당관, 산사태방지과장을 상황실장으로 위기경보 수준별 비상 근무조가 가동된다.

전국 275개 지역 산사태 예방기관인 17개 시·도, 226개 시·군·구, 5개 지방산림청, 27개 국유림관리소에도 상황실이 설치·운영되며, 기상 상황에 따라 주의단계(태풍·호우주의보 발령)부터 24시간 비상근무 체제가 유지된다.

강릉·삼척 등 최근 대형 산불 피해지역에 대해서는 응급복구, 지역주민 피해 예방·대피 체계를 강화했다.

또한 경주 지진 피해지 주변과 땅밀림 지역(하동·완주·정선 등)에 대해서도 사전 예방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전국의 2만 1406개소의 산사태 취약지역에 대해서는 주민 대피체계를 구축하고, 산사태 위기 시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계획이다.

이날 김용하 산림청 차장은 “그간의 산사태 방지 정책은 사방댐 등 구조적 대책 중심으로 추진돼 왔지만 올해부터는 경계피난 등 비구조적 대책의 확대를 통해 균형 있는 산사태 방지 정책을 모색 중”이라며 “산림청은 올해부터 산사태재난경계피난 사업을 신설해 2021년까지 전국 620개소에 산악기상 관측망을 구축, 산사태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림청은 바람도 없이 갑자기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질 때, 산지의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을 때, 산허리의 일부가 금이 가거나 갑자기 내려앉을 때 등 산사태 위험징후를 발견하면 가까운 산림부서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