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쇼크에 '휘청' 건설株…부동산 대책에 '화색'

박태진 기자I 2018.08.28 20:18:31

'비핵화 멈칫'에 경협주 흔들렸지만
주택 공급확대 정책에 실적 기대감 쑥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폼페이오에 울고 부동산대책에 웃고’

주요 건설사들의 주가가 하룻새 ‘천당’과 ‘지옥’을 오갔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 연기 여파에 급락했던 건설사주(株)가 정부가 내놓은 공급 확대를 골자로 한 부동산 대책으로 반등의 기회를 잡은 것이다.

◇“경협 최대 수혜주라 낙폭도 가장 컸다”

주요 건설사들의 주가는 지난 27일 폼페이오 장관의 북한 방문 일정이 중국과의 무역분쟁 해결 이후로 늦춰지면서 급락했다. 남북 경협 기대감에 양호한 흐름을 보이던 건설주가 폼페이오의 방북 연기로 인해 투자심리가 확 꺾인 것이다.

대표 남북경협주로 꼽히는 현대건설(000720)은 지난 27일 종가는 6만5000원이었다. 전거래일과 비교하면 5.32% 내린 것. 제2차 남북정상회담(5월 26일) 개최 이후 연중(52주) 최고치인 7만9400원을 기록하는 등 최근 상승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다.

HDC현대산업개발(294870)도 지난 27일 전일대비 3.28% 하락한 5만6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대우건설(047040)은 같은 기간 3.17% 떨어진 5190원에, 대림산업(000210)은 1.24% 하락한 7만9400원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대우건설은 이날 연중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GS건설(006360)도 0.21% 하락했다. 남북 경협으로 상승세를 탔던 주요 건설사들의 주가가 줄줄이 하락한 것이다.

이광수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건설사들의 주가 하락은 폼페이오 영향 때문”이라며 “특히 현대건설이 남북 경협의 최대 수혜주로 꼽힌 만큼 낙폭도 가장 컸다”고 말했다. 오경석 신한금융투자 연구원도 “남북 경협이 주가를 좌지우지하는 핵심 요소”라며 “다음달 열릴 예정인 제3차 남북 정상회담까지 연기되면 주가는 단기적으로 더 빠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GS건설·대우건설 각각 1.56%·0.96%↑

폼페이오의 방북 연기에 우울했던 건설사 주가는 8·27대책 발표로 다시 화색이 돌고 있다. 28일 현대건설은 전일 대비 0.33% 오른 6만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또 대림산업은 3.27% 오른 8만2000원에, HDC현대산업개발은 2.32% 오른 5만7400원에 각각 거래를 끝냈다. GS건설과 대우건설도 전일 대비 각각 1.56%, 0.96% 상승 마감했다.

8·27 대책의 골자는 향후 수도권 내 30만 가구 이상의 주택공급이 가능하도록 30여개 공공택지를 추가로 공급하고, 서울 4개 자치구(종로구·동작구·중구·동대문구)를 투기지역으로 지정한 것이다. 무엇보다 그간 대책들은 수요 억제 기조였다면 이번 대책은 공급확대 기조로 선회했다고 볼 수 있다는 게 증권업계의 분석이다. 공급확대는 건설사들에게 호재로 작용한다.

라진성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대책은 투기 수요의 주택 구매 증가가 집값 상승의 원인이라는 기존 입장에서 공급 부족도 원인 중 하나라고 처음 지목한 셈”이라며 “이 같은 정책 기조 선회는 주택시장 안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투기지역 추가 지정은 건설주 주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기룡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이미 서울은 11개 자치구가 투기지역으로, 나머지는 투지과열지구로 지정돼 있는 상황에서 4개구만 추가로 투기지역으로 지정한 것”이라며 “투기지역이 11개구에서 15개로 늘어난다고 해서 주택시장 전반에 충격을 준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부가 주택 공급을 확대할 것을 밝힘에 따라 증권업계는 단순 시공보다는 부동산 개발사업의 실질적인 사업 운영 능력을 갖춘 건설사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위원은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주택 공급을 늘리겠다고 밝힌 만큼 시행 능력을 갖춘 HDC현대산업개발 등에 대한 투자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