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K-방역’ 국제표준화 추진…“韓 리더십=新국제질서” 기대

박일경 기자I 2020.06.11 19:57:27

K-방역 산업화에 1575억 투입돼
3차 추경 1635억 중 거의 대부분
11월 PCR 국제표준 제정 마칠 듯
진단시약 국제표준화도 9월 제안

[이데일리 박일경 기자]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를 통해 우리나라의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고, 나아가 새로운 국제질서를 주도하는 도약 발판으로 삼겠습니다.”

11일 제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K-방역모델’을 세계 표준으로 만들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로드맵을 확정하면서, 정부 관계자는 이같이 기대했다. 이 관계자는 “국제 사회가 치명적인 감염병 발병 시에도 내놓지 못한 표준화된 방역모델을 한국 주도로 국제표준화 하는 것이기에 그 의미가 남다르다”고 강조했다.

홍남기(오른쪽 두번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날 마련된 로드맵에 따라 ‘검사·확진→역학·추적→격리·치료’ 3단계로 이어지는 3T(Test-Trace-Treat)를 ‘K-방역모델’로 체계화한 18종의 국제표준을 ISO 등 국제표준화기구에 제안하는 길잡이로 활용된다.

특히 감염병 방역 관련 연구·개발(R&D) 과정에서 얻어지는 성과, 임상 데이터, 표준 물질, 시험 방법 등을 표준화해 국내 바이오산업의 혁신 역량을 강화한다는 것이 정부 정책 목표다.

우선 K-방역 산업화가 추진된다. 이 사업에 제3차 추가경정예산 정부안 1635억원 가운데 거의 대부분인 1575억원이 투입된다. 치료제·백신 신속 개발에 가장 많은 금액인 1115억원이 투자된다. 정부는 유망 후보물질 조기 제품화를 위해 ‘전(前)임상→임상→글로벌 3상’ 전주기 R&D를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방역·의료장비 국산화도 이뤄진다. 감염병 예후예측모델 개발 등 예측·분석 역량을 강화하고 방역장비·진단기기 국산화에 460억원이 배정됐다.

이와 함께 K-방역 세계화가 추진된다.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 및 K-방역제품의 신뢰도·인지도 제고에 각각 30억원씩 총 60억원이 투자될 계획이다. 정부는 국내 업체들의 체외진단·방역기기 표준·성능 실증을 위한 기술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유전자 증폭기반 진단기법(RT-PCR)에 대한 국제표준(IS) 제정을 오는 11월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다양한 감염병 진단에 사용할 수 있는 핵산증폭방식 체외진단검사에 관한 절차 및 검사방법이 표준화됨으로써 우리 기업들의 해외진출이 활성화하고 수출 증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진단시약·장비, 테스트 방법 등에 대한 국제표준화가 오는 9월 제안되며 2022년 상반기까지 국제표준으로 확정한다는 목표 아래 진행된다. 정부는 연구성과평가법 개정에 따라 감염병 치료제·백신, 감염 예측모델 개발 등 R&D 사업과 표준을 연계해 K-방역 관련 주요 성과지표로 인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기술, 스마트 정보통신(IT) 등 검증된 기술을 기반으로 한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 추진으로 국내 감염병 진단기술과 방역 장비 등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하는 한편 미래 먹거리인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시장 선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