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시·도, 국제스포츠대회 유치 이번엔 성공할까?

박진환 기자I 2021.03.25 17:02:31

‘2027 세계대학경기대회’ 유치서류 대한체육회에 제출
현지실사·심의 등 절차 거쳐 5월 국내후보지 최종 선정
시민단체들 "유치앞서 현안우선순위따져야" 철회 촉구

왼쪽부터 허태정 대전시장과 이시종 충북도지사, 도종환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이춘희 세종시장, 양승조 충남도지사가 2027 하계유니버시아드 공동 유치를 위한 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충청권 4개 시·도가 국제스포츠대회 유치에 재도전한다.

대전시와 세종시, 충남도, 충북도 등 충청권 4개 시·도는 ‘2027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유치를 위한 개회계획서 등 관련 서류를 지난 22일 대한체육회에 제출했다.

이 자료는 대회 개최계획서와 요약보고서, 유치 희망도시 이행각서, 유치희망 도시 시설물 사용허가서, 충청권 공동유치 업무협약서 등 국내 승인절차의 첫번째 단계이다. 이에 앞서 이들 4개 시·도는 지난해 7월 공동유치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본계획수립,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 기본 계획 감수용역 등을 마무리했으며, 충청권 공동유치의 당위성과 비전, 콘셉트를 보완했다.

특히 정부 승인과정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또 대한체육회와 중앙부처 관련 법·규정 및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 세계대학경기대회 유치 지침을 숙지해 작성했다.

이에 따라 대한체육회는 유치 신청 도시 선정을 위한 평가위원회 현지 실사를 시작으로 국제위원회, 대한대학스포츠위원회(KUSB) 상임위원회, 이사회 및 대의원 총회 심의 절차를 거쳐 오는 5월 말 ‘2027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의 국내 유치를 위한 유치 신청 도시를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유치 신청 도시는 대한체육회와 협약서를 체결한 뒤 정부 승인 절차를 거쳐 국제대학스포츠연맹에 한국 대표로 유치 신청서를 제출할 권한을 갖게 된다.

최동규 대전시 체육진흥과장은 “신청 절차를 총괄하는 충북 U대회추진 부서와 협력해 국내 유치신청도시로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시를 비롯해 충청권 4개 시·도는 앞으로 대한체육회 심의 완료 후 문화체육관광부와 기획재정부 등의 심의·승인 절차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반면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등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국제스포츠대회 유치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참여연대는 성명을 통해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당시 각종 경기장 건립·보수비와 운영비 등 2조 2056억원이 소요됐고,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1조 270억원의 지방채를 발행했다”고 전제한 뒤 “현재까지도 경기장 운영적자는 매년 100억원대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며 유치 계획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