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北, 文경축사 비판 도 넘어..깊은 유감"

이승현 기자I 2019.08.16 15:51:10

16일 통일부 당국자, 조평통 대변인담화 관련 입장내놔
"北의 비난, 무례한 행위..지킬 것은 지켜야"
북측 담화에 대해 이례적으로 항의의 뜻 밝혀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전 천안 독립기념관 겨레의 집에서 열린 제74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정부가 문재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대해 모욕에 가까운 말로 비판한 북한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정부가 북한의 이같은 비판 담화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 것은 흔치 않는 일이다. 북한과 감정싸움을 벌여선 안 된다는 기본 입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번에 이례적으로 유감의 뜻을 밝힌 것은 그만큼 북한의 비난이 도를 넘었다고 판단한 것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16일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오늘 조선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담화와 관련해 몇 마디 말씀 드리겠다”며 “북측이 민족최대의 경사인 광복절 다음 날 우리에 대해 험담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그간 한미연합훈련이 북측을 겨냥한 대규모 야외기동훈련이 아니라 전시작전권 전환에 대비한 연합 지휘소 훈련임을 여러 차례 설명해 온 바 있다”며 “그럼에도 북한이 오늘 우리를 비난한 것을 보면 당국의 공식입장 표명이라고 보기에는 도를 넘은 무례한 행위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또 “앞으로 남북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고, 한반도의 평화를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남북이 상호 존중하는 기초 위에서 지킬 것은 지켜가는 그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정부는 판문점선언과 평양선언에 대한 철저한 이행 의지를 갖고 노력해 왔고 북한의 참여를 독려해 왔다”며 “남북관계를 진전시키기 위해선 상호존중 입장에 지켜져야 하는 만큼 이런 행위는 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 당국자는 북측이 이번 무례한 표현을 한 의도에 대해 “북미실무회담도 있고 남북관계에 활용하는 측면이 있는 것 같다”면서도 “북측의 의도에 대해 분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 역시 “청와대는 세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그 합의정신을 고려할 때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 남북관계가 한단계 더 발전해 나가야 하는데 이를 위해 대화와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점에서 이번 조평통 담화는 보다 성숙한 남북관계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같은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한편 북한 조평통은 16일 대변인 담화를 통해 “남한 당국자가 최근 북한의 몇차례 ‘우려스러운 행동’에도 대화분위기가 흔들리지 않았다느니, 북한의 도발 한번에 한반도가 요동치던 이전 상황과 달라졌다느니 하면서 광복절과는 인연이 없는 망발을 늘어놓았다”며 문 대통령의 어제(15일) 광복절 기념사를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조평통은 “남한 당국자의 말대로라면 저들이 대화분위기를 유지하고 북남협력을 통한 평화경제를 건설하며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소리인데 삶은 소대가리도 앙천대소할 노릇”이라면서 “지금 이 시각에도 남한에서 우리를 반대하는 합동군사연습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 때에 대화분위기니, 평화경제니, 평화체제니 하는 말을 과연 무슨 체면에 내뱉는가”라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을 겨냥해 “정말 보기 드물게 뻔뻔스러운 사람”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남한 당국이 이번 합동군사연습이 끝난 다음 저절로 대화국면이 찾아오리라고 망상하면서 앞으로의 북미대화에서 어부지리를 얻어보려고 하고 있지만 그런 부실한 미련은 미리 접는 것이 좋을 것”이라며 “두고보면 알겠지만 우리는 남한 당국자들과 더 이상 할 말도 없으며 다시 마주앉을 생각도 없다”고 단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