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윤지호 센터장 "J노믹스, 증시에 단기 부정적…내수株 대신 IT·바이오 사라"

정수영 기자I 2017.09.05 18:03:17

소득분배, 소기업 지원에 초점 맞춘 J노믹스
초기 성과 내기 어려워..내수주 상승 제한
글로벌투자사이클 IT, 바이오, 소재, 산업재



[이데일리 정수영 기자] 문재인 행정부의 경제정책인 `J노믹스`가 국내 주식시장에 다소 부정적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소비 활성화로 주가 상승 기대감이 컸던 내수주(株)는 오히려 악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윤지호 이베스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전무·사진)은 5일 한국거래소 기자단 간담회에서 “J노믹스의 단기 영향은 증시에 부정적”이라며 “국내 익스포저를 줄이고 해외 IT·소재주 중심 투자비중을 확대하라”는 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현 조정장세는 펀더멘털보다 밸류에이션 측면으로 봐야 한다”며 “과거엔 이익 성장이 정체되더라도 밸류에이션 재평가가 뒤따랐지만 지금은 재평가가 아닌 할인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가 말하는 국내 증시의 할인요소는 북핵리스크와 정부정책 두 가지다.

윤 센터장은 “북핵 리스크는 군사적 옵션보다 대화를 통한 봉합 가능성이 커 오히려 저점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봤다. 반면 정부 정책은 그렇지 않다고 판단했다. 그는 “정부정책의 옳고 그름을 따지자는 게 아니라, 주식투자 시각에서만 볼 때 J노믹스의 단기 영향은 분명 증시에 부정적”이라며 “소기업 지원, 내부거래 비중 축소, 내부유보 유출 유도 등 세법개정과 양형 강화 등은 현실화 되고 있지만 이론적 배경인 소득주도 성장론과 국가의 개입을 강조한 ‘포디즘’의 현실적 처방은 아직 추상적인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의 언론 인터뷰에서도 언급됐다. 김 보좌관은 최근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J노믹스는 J커브 현상과 콘셉트가 맞아 떨어진다”고 밝혔다. J커브 현상은 혁신정책을 쓰면 초기에는 성과가 떨어지지만 이후에는 변곡점을 거쳐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이론으로 알파벳 ‘J’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졌다.

윤 센터장은 “문정부의 정책은 중기업 이하 집단인 영세기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내수 비중이 높은 중견그룹들이 정부 정책에 직접적인 디스카운트를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대표적인 예가 SPC삼립(005610)BGF리테일(027410) 등 내수주의 하락세다. 반면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등 정책 위험에서 한 발 뒤에 있는 대형주는 영향이 적은 편이다.

윤 센터장은 정부의 정책이 배당성향을 높여줄 것이란 당초 기대도 예상과 달랐다고 평가했다. 그는 “세법 개정안을 보면 배당에 대한 가중치를 없애는 등 기업의 배당 유인을 확대하지 못했다”며 “이는 배당유인 축소로 국내 기업 배당성향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증시에도 부정적인 요소”라고 분석했다.

윤 센터장은 이 같은 분석 아래 투자전략으로 정책 영향에서 다소 자유로운 종목 비중을 확대하라고 제안했다. 그는 “정책위험에 상대적으로 큰 내수주보다 선진국과 이머징 국가가 강세를 보이는 IT와 바이오, 소재, 산업재를 주목해야 한다”며 “IT의 경우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바이오는 국내제약사보다는 셀트리온처럼 글로벌한 기업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제시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