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수도권 11개 사업지 골조공사 보이콧.."단가 인상하라"

신수정 기자I 2022.03.02 17:45:33

철콘연합회 원자재값 20% 인상 요구
40여개 건설사 "협상 하겠다" 회신
일부 대형건설사 사업장별 협상

[이데일리 신수정 기자] 골조공사 전문 업체들이 수도권 11개 건설 현장의 공사를 중단했다. 원자재와 인건비 상승에 따른 인상 협의를 거절한 데에 따른 조치다. 국토교통부는 업계 의견을 청취하며 중재방안을 검토 중이다.

서울의 한 대형아파트 공사 현장 모습(사진=뉴시스)
2일 철근콘크리트연합회 소속 전국 5대 권역 산하 184개 전문건설사는 △GS건설 청라 사업장 △현대엔지니어링 남양주 및 구로 가산 사업장 △호반건설 청주 및 광명 사업장 △대우건설 인천 한들도시개발 사업장 △포스코 송도 사업장 등 수도권 11개 사업장에서 골조공사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사 중단은 계약단가 조정 불응에 따른 조치다. 철콘연합회는 지난달 18일 시공능력 100대 건설사를 대상으로 계약단가 조정에 불응하면 현장 작업을 진행할 수 없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그러면서 최근 자재비와 인건비가 급등한 점을 반영해 계약단가 평균 20% 인상을 요구했다.

연합회에 따르면 현재까지 48여개 업체가 회신했다. 10대 건설사 중에선 현대건설, 대우건설, 롯데건설 등이 협의 의사를 전달했다. 하지만 삼성물산, GS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등은 아직 구체적인 답을 보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주요 대형 건설사들은 연합회에 직접 회신하지 않는 대신 현장별 협의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철콘연합회는 시공 현장에서 전문 건설사들이 직접 공수하는 각재와 합판, 알루미늄폼 등 기타 자재 비용이 대폭 올랐고 작업자 인건비도 급등해 계약단가를 높이지 않으면 심각한 경영난에 빠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3~8월 계약분) 대비 철물과 각재·합판 가격은 50%, 기타 잡자재 가격은 40% 가량 올랐다. 작업자 인건비도 형틀 재래식 15%, 알폼 시공 30%, 철근 시공 10% 가량 비싸졌다.

김학노 철콘연합회 대표는 “공공 건설사업의 경우 물가 상승분을 반영하는데, 민간은 적용해주지 않아 업체들의 경영상황이 상당히 어렵다”며 “종합건설사에 비해 전문건설사의 협상력 자체가 약한 상황이라 단체로 요구하게 됐다”고 호소했다.

그러나 대형 건설사들은 주요 자재는 직접 조달하기 때문에 원자재 상승분을 계약단가에 반영해달라는 주장을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인건비도 각 현장별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인상률을 책정하면 오히려 역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국토교통부는 중재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수급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중이지만, 일단 공급이 부족한 상황은 아니다”며 “원자재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있어 기존에 낮은 가격에 발주된 사업장의 부담이 큰 것으로 보이며 중재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