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4차 대유행 전문가 진단 "델타 더해 최대 3000명 갈 수 있어"

박경훈 기자I 2021.07.07 17:17:17

천은미 "델타 초기 파악 어려워, 그만큼 전파 쉬워"
최재욱 "자가검사키트 활용, '그물망식'으로 잡아야"
이재갑 "1년 반 참은 소상공인 손해 신호 주지 말아야"
김윤 "사회경제 피해 커, 거리두기 치명률 따라 바꿔야"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코로나19 4차 유행이 시작된 것에 대해 국내 전문가들은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빠른 전파력을 고려할 때 향후 확진자 수가 많게는 2000~3000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정부가 지금이라도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 충고했다.

무엇보다 지금 확진자의 대부분이 경증·무증상 감염자이고, 숨어 있는 확진자가 많기 때문에 선제적 검사를 통해 환자를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 왼쪽부터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김윤 서울대의대 의료관리학과 교수.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7일 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확진자 1000명이 넘을 것은 2주 전부터 이미 예상했었다”고 말했다. 천 교수는 그 이유로 감염재생산지수 상승을 들었다. 실제 감염재생산지수는 지난달 13~19일 0.88에서 같은달 20~26일 0.99로 올랐고, 지난주 1.2를 기록했다. 천 교수는 “특히 수도권의 지수는 1.25를 기록했다”며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검사 수가 늘어나면 2000~3000명의 확진자도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천 교수는 확산 조짐을 보이는 델타 변이에 대해서는 미리 파악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그는 “비(非)변이 바이러스의 초기 증상은 발열·후각상실이어서 확인이 상대적으로 쉬웠다”면서 “반면, 델타 변이의 초기 증상은 두통·인후동·콧물·재채기다. 초기에 파악하기 어렵고, 그만큼 전파가 쉽다”고 지적했다.

최재욱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자가검사키트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초기 증상이 없는데 누가 가서 검사를 하겠느냐”며 “다중이용시설·학교 관리자, 직장 사업주 등이 자가검사키트를 주기적으로 활용해 ‘그물망식’으로 확진자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 교수는 지금이라도 상대적 활동이 많은 청년층에게 예방접종 우선 순위를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일반인 접종은 50대부터로 예정 돼 있다. 최 교수는 “감염 확산을 줄이기 20대, 그중에서도 다중이용시설이나 단체 활동을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집단을 상대로 먼저 접종을 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국민의 참여를 이끌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렸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국민들은 지금까지 1년 반을 넘게 참았다”며 “더 버틸 수 있게끔 정부가 도와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소상공인들을 충분히 지원해서 장사를 쉬었을 때 손해 본다는 신호를 주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근본적으로 더 이상 이전과 같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의미 없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윤 서울대 의대 의료관리학과 교수는 “김부겸 국무총리가 ‘상황이 악화하면 4단계로 격상한다’는 말을 했다”면서 “과거와 같은 방식을 답습하는 것에 대해 국민들이 쉽게 수용하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확진자가 최소 2주 이상 증가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본다”면서도 “코로나19의 한 달간 치명률만 따지면 0.3% 정도로 독감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를 막기 위해 사회경제적 피해가 너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에서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감염자 수가 아니라 중증환자·치명률을 기준으로 거리두기를 전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