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中대사관, '한복 논란'에…"한반도의 것이자 中조선족의 것”

정다슬 기자I 2022.02.08 20:46:47

한국 언론에 입장문
"문화공정이란 말은 성립안돼…조선족 감정 존중해달라"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주한 중국대사관은 한복을 둘러싸고 재차 불거진 ‘문화공정(문화+동북공정)’ 논란과 관련해 “중국 조선족과 한반도 남북 양측은 같은 혈통을 가졌으며 복식을 포함한 공통의 전통문화를 가지고 있다”라고 “이러한 전통문화는 한반도의 것이며 또한 중국 조선족의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복이 한국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중국 소수민족의 전통의상이란 점을 인정하란 요구로 받아들여진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8일 한국 언론에 배포한 대변인 명의 입장문에서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라며 “중국의 각 민족 대표들이 민족 의상을 입고 베이징 동계올림픽이라는 국제 스포츠 대회와 국가 중대 행사에 참석하는 것은 그들의 바람이자 권리”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문화공정’, ‘문화약탈’이라는 말은 전혀 성립될 수 없다”며 “중국 측은 한국의 역사·문화 전통을 존중하며 한국 측도 조선족을 포함한 중국 각 민족 인민들의 감정을 존중해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올해는 중한 수교 30주년이자 중한 문화교류의 해”라며 “양국이 함께 노력해 각 분야에서의 협력을 심화하고 양국 국민 간 우호 감정을 촉진해 양국 관계를 새로운 단계로 발전시켜 나가기를 바란다”고 부연했다.

해당 입장문은 ‘한복’이란 단어 대신 ‘중국 조선족 의상’, ‘민족 의상’ 이란 표현을 사용했다. ‘한복(韓服)’ 대신 ‘한푸(Hanfu·漢服)’를 밀어붙이는 중국 측이 구체적인 지칭을 피하고 원론적인 표현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4일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한복을 입은 조선족 여성이 중국 국기를 전달하는 민족대표 중 한명으로 등장했다. 한국 고유 의상인 한복을 중국 소수민족 전통 의상으로 내세웠단 점에서 한국 내 분노 여론이 식지 않고 있다.

7일 쇼트트랙 편파 판정 논란과 겹쳐 이번 한복 사태는 전방위적인 반중 정서로 격화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앞서 기자들과 만나 외교경로로 소통한 결과 “동계올림픽 개막식 공연 내용은 문화 원류(源流) 문제와는 전혀 무관한 입장임을 (중국 측이) 확인해왔다”고 강조한 바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