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지원' 등에 업은 소부장…반도체 생태계 조성 '시너지 가속화'

조민정 기자I 2023.08.17 17:45:06

산업부, 첨단산업 세부 정책 모색 본격화
美中 반도체 전쟁…脫中 반사이익 못 누려
소부장 기업도 함께 성장해야…'시너지' 기대

[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정부가 반도체 기업에 대한 세부 지원 정책을 속속 발표하며 국내 생산능력을 강화하는데 속도를 높이고 있다. 예정대로 반도체 및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등에 대한 정책 지원이 이뤄지는 가운데 해외로 나간 기업들이 국내로 돌아오는 비율이 높아진다면 국내 반도체 생태계의 경쟁력도 함께 높아질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팽배하다. 주요국의 공격적인 첨단산업 투자 지원에 비해 다소 부족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누그러질 전망이다.

대규모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일대 모습. (사진=연합뉴스)
1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창양 장관은 전날 부산 전력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를 찾아 세밀한 정책지원을 모색하기 위한 현장 행보에 돌입했다. 내년부턴 국내 복귀기업에 대한 세제 지원을 강화하고 국가·첨단전략사업이나 첨단 소부장의 지원 비율을 더 높이는 제도개선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정부와 지방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구체적 육성책을 발굴하는 등 세밀한 정책지원으로 첨단산업 초격차를 이끌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8월 시행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반도체법)으로 지정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17개 지역 중 반도체 관련 단지는 총 4개다. △경기 용인·평택(반도체 최대 생산거점) △경북 구미(반도체 핵심 소재) 등 첨단 특화단지 2곳과 △경기 안성(반도체 장비) △부산(전력반도체) 등 소부장 특화단지 2곳이다. 특화단지는 ‘반도체 생태계’ 안에 있는 기업들을 한 클러스터로 모아 정책 지원부터 정부, 학계, 기업 간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단 강점이 있다.

그동안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전쟁으로 공급망이 개편되면서 경쟁국들은 공격적으로 자국 생산능력에 투자해왔다. 여기에 한국은 뒤늦은 정책 지원으로 탈중국 반사이익을 제대로 누리지 못했단 지적도 함께 나왔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산업육성법을 통해 대규모 투자를 시행한 미국은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1년 만에 투자금 300조원을 쓸어담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내 대표 전자업계들은 미국 정부의 지원 속 반도체 산업 투자를 결정하는 한편, 국내 특화단지 조성에도 참여하면서 향후 국내 공급망 강화에 기대를 걸고 있다. 미국 테일러시에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005930)는 플랫폼시티와 가까운 용인 처인구 남사읍 일대에 2042년까지 5개 이상 반도체 공장(팹)을 세워 세계 최대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했다. 조만간 대미 투자 계획을 마무리 지을 SK하이닉스(000660)는 2029년 조성 완료 예정인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 2027년 첫 번째 반도체 팹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기업이 밀집한 첨단 특화단지를 비롯해 소부장 특화단지의 성장도 중요하다. 반도체 설계만 하는 팹리스 기업들의 경쟁력이 높아지면 이를 생산하는 파운드리 기업도 덩달아 이익을 보는 등 함께 성장해야 시너지 효과가 커질 수 있어서다. 업계 관계자는 “관련 팹리스 기업들의 영향력이 높아지면 국내 파운드리 기업의 새로운 고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함께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