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한민국 우주 시대 개막’ 누리호 발사 성공

이대호 기자I 2022.06.21 17:43:30

독자개발 우주발사체 2차 발사 성공
700km에 성능검증위성 성공적으로 분리·안착
오는 2027년까지 4차례 추가적인 반복발사
이종호 장관 “위성 발사 능력 더욱 향상시킬 계획”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2차 발사 장면 갈무리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이데일리 이대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항우연)은 국내 우주수송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독자 개발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2차 발사가 국민의 관심과 성원 속에 성공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오후 4시(16시)에 발사한 누리호가 비행을 종료한 뒤, 항우연은 발사체 비행 정보를 담고 있는 누리호 원격수신정보(텔레메트리)를 초기 분석한 결과, 누리호가 목표궤도(700km)에 투입돼 성능검증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안착시켰음을 확인했다.

누리호는 발사 후 정해진 비행시퀀스에 따라 비행과정이 모두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누리호 1,2,3단 엔진 모두 정상적으로 연소되고 페어링도 정상 분리돼 누리호에 탑재된 성능검증위성 분리까지 모두 성공했다.

현재 남극 세종기지 안테나를 통해 성능검증위성의 초기 지상국 교신을 성공하고 위성의 위치를 확인했다. 내일 오전 3시경부터 대전 항우연 지상국과의 양방향 교신을 실시하여 위성의 상태를 세부적으로 확인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운송 능력을 확보하고, 자주적인 국가 우주 개발 역량을 온전히 갖추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우주발사체 누리호 개발이 완료된 만큼 오는 2027년까지 신뢰성 향상을 위해 4차례의 추가적인 반복발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정부는 앞으로 누리호 개발의 경험과 기술을 토대로 성능이 향상된 우주발사체 개발을 추진하여, 우리나라의 위성 발사 능력을 더욱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라며 “따뜻한 격려와 성원을 보내주신 국민 여러분과, 오랜 시간 동안 수많은 역경을 이겨내고 발사 성공을 위해 땀과 열정을 아끼지 않은 과학기술인, 산업체 관계자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누리호 2차 발사

- "연간 3억원 쓰면 OK"..백화점 VVIP들만 누리는 혜택은?[찐부자 리포트] - 전자광학 감시 시스템으로 누리호 우주물체 포착 - [기자수첩]'포스트 누리호'는 민간주도 우주혁명으로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