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장 생산능력이 작년 1분기 2만 3000대에서 3만 2400대로 늘어난 것을 고려해도 감소 폭이 컸다. 올 1분기 HMMI에서 생산한 차는 총 1만 8150대로 전년 동기(2만 2520대) 대비 19.4% 줄었다.
HMMI는 지난 2022년 준공한 현대차그룹 최초의 아세안(ASEAN) 지역 완성차 공장이다. 지난해 7월 더 뉴 코나 일렉트릭 생산을 개시하며 △아이오닉 5 △크레타 △스타게이저 △싼타페 등 총 5종의 차량을 만들고 있다.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중심으로 아세안 시장 공략 거점이 된 베트남 공장 가동률은 전년 대비 낮아졌다. 1분기 현대차 베트남 공장(HTMV) 가동률은 55.5%를 기록했다. 작년 같은 기간 75.2%에서 뒷걸음질쳤다. 생산 대수는 1만 1700대로 작년 같은 기간(1만 984대) 대비 소폭 늘었으나, 생산 가능 대수가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아쉽다는 평가다.
기아(000270) 멕시코 공장 가동률도 주춤했다. 1분기 가동률은 71.9%로 당초 계획 대비 28.1%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시장을 공략할 K4 등 생산 기지 역할을 하던 멕시코 공장이 부품 공급망 정체를 겪은 점이 치명적인 변수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
다만 전문가들은 현대차·기아가 전동화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 신흥국에서 제조 역량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실제 아세안과 중남미 시장은 전기차로 빠르게 전환 중이다. 인도네시아자동차공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기차 판매량은 1만 6535대로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1만 3957대)를 처음으로 넘어섰고, 베트남에서는 전기차 판매가 전체 시장의 20%를 차지했다. 멕시코 역시 1분기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290% 급증하며 2만 560대를 기록했다.
문제는 중국 브랜드가 물량 공세를 펼치며 신흥 시장을 선점, 경쟁이 치열해졌다는 점이다. 현대차·기아가 시장 다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현지 공장 가동률을 끌어올리고, 전기차 생산라인 확대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권용주 국민대 자동차운송학과 교수는 “인도네시아에서는 중국 브랜드가, 베트남에서는 ‘빈패스트’ 등 새로운 플레이어가 등장하면서 현지 시장에서 현대차·기아가 밀리고 있다”며 “멕시코는 미국에 차를 공급하는 기지 역할을 하던 만큼 이곳에서 가동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