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류근관 통계청장 “韓, 세계최초 공공빅데이터 만들 것”

원다연 기자I 2021.02.01 15:00:00

흩어진 데이터 모아 K-통계시스템 구축
데이터 암호기술로 정보유출 우려 불식
통계자료 샌드박스 통해 통계 활용 확대

류근관 통계청장이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k-통계시스템 구축방안’을 발표했다. (사진=통계청)
[세종=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통계청이 정부 부처마다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한데 모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K-통계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데이터 보안 기술을 적용해 정보 유출 우려를 해소하면서 데이터 공유를 확대하는 공공 빅데이터 시스템을 5년내 완성하는 계획이다.

류근관 통계청장은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빠르면 3년, 늦어도 5년 내에는 한국이 세계 최초로 가장 완벽한 암호 체계로 공공빅데이터를 운영하는 국가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에 따라 가명정보 활용이 허용됐다. 이에 따라 통계청은 정부 곳곳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한 곳에 모으는 시스템 구축 작업에 돌입했다.

앞으로 통계청은 새로운 정보보안 기술을 도입해 데이터 정보유출 우려를 해소할 계획이다. 류 청장은 “정보보호를 위해 최근 학계에서 제4세대 암호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동형암호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며 “이 기술을 활용하면 암호 상태를 풀지 않고 필요한 연산을 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결과를 볼 때에만 암호를 풀면 된다”고 말했다.

K-통계시스템 구축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리는 만큼 통계 서비스를 확대하는 조치도 우선 시행하기로 했다. 통계청은 연구, 정부정책 근거 마련 등의 목적이라면 통계를 우선 제공하기로 했다. 공식적인 품질인증을 받기 전의 시범통계도 제공할 계획이다.

류 청장은 “‘통계 소비가자가 만족할 때까지’를 새로운 모토로 새로운 통계서비스 기준을 정립할 것”이라며 “통계 자료를 일정 기간동안 임시적으로 열람하고 활용할 수 있는 ‘통계자료 샌드박스 제도’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 청장은 “K-통계시스템 구축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등과도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공공 빅데이터 활용 체계를 구축하면 공공정책의 효율성, 공평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통해 국가 혁신을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