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변죽만 올리는 미·중 정상회담, 공식 발표 왜 미룰까

이명철 기자I 2023.11.01 17:52:08

백악관, 11월 두정상 만남 인정 “건설적 회담 목표”
중국은 별다른 입장 발표 없어…왕이 “순탄치 않아”
수출 제한 등 경제 갈등 깊어…“세부 사항 조율 중”

[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미국과 중국 정상이 이달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만나 회담할 예정이다. 이미 중국 외교 수장이 미국을 찾아 이야기를 나눴고 미국 백악관도 정상회담 사실을 인정했다. 하지만 중국은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순탄하지 않을 것”이라며 으름장을 놓고 있다. 정상회담으로 가는 길에 걸림돌은 무엇일까.

조 바이든(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1월 14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별도로 만나 인사하고 있다. (사진=AFP)


정상회담 원칙적으로 합의했는데…발표 보류

카린 장 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31일(현지시간) 브리핑을 통해 “우리는 11월 샌프란시스코에서 (미·중) 정상들간 건설적인 대화, 회담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장관)은 지난달 26~28일 미국을 방문해 조 바이든 대통령과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을 만났다. 이로써 이달 11~17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회담을 열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백악관이 11월 정상회담 여부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를 두고 “이번 확인은 양국이 수개월 동안 (정상회담을 위해) 노력한 끝에 이뤄졌다”며 “그러나 (백악관의) 공식 승인은 매일 열리는 언론 브리핑에서 거의 실수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미국이 중국과의 정상회담 공식 확인에 늦어진 이유는 아직 세부 사항에 대한 합의가 조율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는 미국측 관계자를 인용해 미·중은 왕 부장 방미 이후 정상회담을 원칙적으로 합의했지만 세부 사항을 확정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발표를 보류했다고 전했다.

왕 부장도 미국 방문 일정 중 한 좌담회에 참석해 “샌프란시스코로 가는 길은 순탄하지 않을 것이다. 자율주행에만 맡겨둘 순 없다”고 말해 양국 협의가 수월하지 않음을 시사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GT)는 1일 ‘최근 중·미의 빈번한 교류에서 나오는 신호는?’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왕 부장의 발언을 언급하면서 “양측은 ‘발리 합의’로 복귀해야 한다. 두 정상이 달성한 공통 이해를 진정으로 이해하고 혼란을 제거하며 성과를 축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발리 합의란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이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별도로 만났을 때 양국간 충돌과 갈등을 추구하지 않기로 합의한 것을 말한다.

토니 블링컨(오른쪽) 미국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회담을 하기 전 이동하고 있다. (사진=AFP)


미국 건너가는 시진핑, 빈손으로 오면 타격 우려

중국의 우려는 미·중 정상회담이 확정된 이후 미국이 중국에 대한 추가 제재 등 조치를 할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해석된다.

시 주석은 올해 브릭스(BRICS) 정상회의가 열린 남아프리카공화국,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난 모스크바 등을 제외하고 해외 출장을 자제했다. 인도와의 갈등을 이유로 9월 뉴델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도 참석하지 않았다.

시 주석이 바이든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미국을 찾아갔는데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올 경우 중국의 대미 외교정책이 큰 타격을 받는 것은 불가피하다. 이에 중국 입장에서는 정상회담을 공식 선언하기 전까지 최대한 유리한 조건을 가져가기 위해 신경전을 벌이는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는 “양국은 여러 문제를 놓고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기술 제재와 같은 경제 문제에 점점 더 집중되고 있다”며 “바이든 대통령은 첨단 반도체 칩 기술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고 주요 광물의 대체 공급원을 찾고 있는 중”이라고 전해 제재 완화가 쉽지 않을 것으로 봤다.

중국은 백악관의 브리핑 이후 11월 정상회담을 공식 인정하진 않았지만 미국과의 관계개 선을 바란다는 신호를 보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이날 논평을 통해 “시 주석과 바이든 대통령간 정상회담 계획이 있는 가운데 중국과 미국은 라이벌이 아닌 파트너로 관계 안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중미 관계가 갈등과 대결로 빠지지 않고 안정되고 개선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