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그린피스 “체르노빌 주변 방사능 IAEA조사의 3배 ↑”

김경은 기자I 2022.07.20 21:13:16

그린피스 “IAEA, 일부 소수 면적만 조사해”
러시아군 철수하며 지뢰 매설 "관리 어려워져"

에이드리안 카울(Adrian Kaul) 그린피스 독일사무소 드론 조종사가 초르노빌 접근 제한구역 내 조사를 위해 그린피스가 자체 제작한 드론의 비행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그린피스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러시아군이 점령했던 우크라이나 체르노빌에서 국제원자력기구(IAEA) 조사 결과의 3배가 넘는 방사선량이 확인됐다는 국제 환경단체의 주장이 나왔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20일 국제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16일부터 3일간 진행한 체르노빌 접근 제한구역 방사선에 대해 현지 조사한 결과 “지난 4월 체르노빌 주변의 방사선 상황은 정상적이라고 밝힌 IAEA의 조사 결과보다 최소 3배가 넘는 방사선량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IAEA의 조사 대상 면적이 체르노빌 제한구역 내 극히 일부로 IAEA 조사의 공정성에 의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린피스는 체르노빌 내 러시아 군이 구축한 진지의 토양을 분석한 결과 IAEA가 같은 장소를 조사해 발표한 결과(최대 0.75μSv/h)보다 최소 3배 높은 2.5μSv(시간 당 마이크로시버트)의 방사선량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해당 지역의 토양 샘플에서 최대 kg 당 4만5000Bq(베크렐), 최소 500Bq의 세슘이 검출된 것으로 볼 때 러시아군이 고농도 방사능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상대적으로 오염이 적은 지역으로 이동하며 방사성 물질이 확산한 것으로 추정했다.

그린피스는 이번 조사 대상 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맥킨지 인텔리전스 서비스(Mckenzie Intelligence Service, 지리·기후 정보 전문 기업)을 통해 확보한 위성 영상 정보를 토대로 체르노빌 접근 제한구역에 남겨진 다수의 러시아 군 진지를 확인했다. 그러나 러시아 군이 철수할 당시 대부분 지역에 대량의 지뢰를 매설해 접근할 수 없었다고도 했다.

이로 인해 현지 지역의 방사능 및 화재 위험을 관리하는 과학자와 소방관들의 생명도 위험에 처해있다고 전했다. 러시아군이 방사선 측정 도구와 소방 장비들을 파괴하거나 약탈해 우크라이나 정부가 체르노빌 접근 제한구역의 오염 변화를 정상적으로 관리하거나 통제할 수 없게 됐다고도 덧붙였다.

그린피스는 러시아 군은 극도로 오염된 붉은 숲 지역에 의도적으로 불을 지른 것으로 보이며, 화재로 인해 토양 속에 있던 방사성 물질이 대기로 확산했을 것으로 추론했다. 그에 따라 우크라이나 시민들의 식수원과 연결되는 주변 강의 방사능 오염도 우려된다는 설명이다.

얀 반데푸타 그린피스 벨기에 수석 방사선 방호 전문가는 “곳곳에 설치된 대인 지뢰로 인해 조사팀이 조사를 진행한 곳은 극히 제한적”이라며 “러시아군이 군사 활동을 펼친 전체 지역을 조사하면, 방사성 물질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 정도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드러날 것”이라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