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좌진 교체, 지역구 ‘양다리’…총선 1년 전부터 술렁이는 국회

김미영 기자I 2019.04.17 18:41:57

총선 1년 앞…발걸음 바빠진 현역 의원들
공보·네트워크 강화 위해 보좌진 교체 “유력인사 자녀도 채용”
의정보고회, 사무실 개소식…발이 닳게 지역행
“‘레임덕’ 의원들 연임 준비…국회 뒷전 밀릴 수밖에”

[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21대 총선이 1년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국회의 술렁임이 점차 커지는 양상이다. 현역기득권 축소 방침을 천명한 더불어민주당은 물론, 자유한국당도 총선 공천에서 폭 넓은 물갈이를 할 것으로 관측되면서 지역구를 사수하려는 의원들과 지역구 터잡기를 노리는 비례대표 의원들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보좌진 물갈이로 총선 체제 구축…지역行도 늘려

최근 강원도의 한 지역구 의원은 5급 비서관을 지역신문 기자로 교체했다. 앞서 같은 당 비례대표 초선 의원 역시 강원도 지역구 안착을 위해 지역 언론 기자를 비서관으로 뽑았다. 지역 사정과 민심을 잘 알고 공보 능력도 겸비한, 총선 맞춤형 인재란 판단에서다. 이에 비해 영남권 한 다선 의원은 얼마 전 국회 상임위원회 정책을 도맡았던 보좌진 내보내는 대신 지역 토박이를 들였다. 지역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하려는 포석이다.

의원들이 보좌진을 교체하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다. 국회의원은 4급 보좌관 2명, 5급 비서관 2명, 6~9급 비서 4명, 인턴 1명 등 총 9명 보좌진의 임면권을 갖고 있고, 의원실 사정에 따라 상시적으로 임면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선거라는 최대 이벤트를 앞두고 전략적인 보좌진 교체는 반복돼왔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올해 국감이 남아 있지만, 솔직히 지역에서 국감이나 정책공약에 신경쓰는 게 아니잖나”라며 “정책 분야를 포기하고 표를 많이 끌어올 수 있는 보좌진을 쓰는 건 의원 입장에서 당연한 일이다. 선거 선수가 필요한 것”이라고 했다.

의원들은 지역구 방문 횟수도 늘려가고 있다. 현역 의원에게 열린 합법적인 선거운동 중 하나인 의정보고회를 활용하는 경우도 적잖다. 4월 임시국회가 열리는 중이지만 여야 없이 지역구 의원들의 의정보고회가 이어지는 중이다. 지난 한 해 동안의 국회 활약상은 물론 정부에서 받아낸 특별교부세 등 ‘지역발전 공헌 활동’을 띄우는 자리다. 경북의 한 다선 의원은 이번에 지역구 내 35곳 읍면을 모두 돈다는 목표를 세우고 의정보고회를 시작, 지난 일주일 동안 지역에 머물기도 했다.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좋은 수도권 의원들 사이에선 “아예 지역에서 산다”는 말도 나온다. 서울지역의 민주당 한 초선 의원은 “지난 총선 때랑은 분위기가 많이 달라진데다 현역은 반드시 경선을 거치도록 해서 지역활동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비례대표, 잇단 개소식…눈치작전도 여전

재선에 도전하는 비례대표 의원들도 지역구 터잡기에 발걸음이 바쁘다. 지역을 정한 의원은 속속 개소식을 열고 있다. 최근엔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이 충북 청주 청원구에, 김종대 정의당 의원이 충북 청주 상당구에 각각 사무실을 열었다. 지역구를 정한 한 비례대표 의원 측 관계자는 “현역 의원에 대한 피로도를 감안하고, 꼭 이번 아닌 다음번까지 멀리 보고 지역을 잡았다”고 했다.

당 안팎 사정에 지역구를 정하지 못한 비례대표 가운데선 ‘양다리’를 걸친 이도 있다. 사무실은 연고가 있는 지역에 두되, 지역활동은 고향에서 펴는 식의 눈치 작전이다. 총선 공천룰이 정해진 뒤에 보다 유리한 곳을 택하겠단 계산이다. 지역을 정한 비례대표 의원실의 보좌진 교체도 당연한 수순이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비례대표처럼 연고가 적거나 기반이 약한 의원일수록 빠르게 ‘접수’하기 위해서 지역에서 영향력 있는 인사들의 자제들을 보좌진으로 채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사실상 임시직이지만 채용되는 이들도 이력서에 한줄 넣을 수 있는 기회를 얻는 셈이라 상부상조”라고 귀띔했다.

한편 잠룡들의 총선 등판 여부는 벌써부터 관심도 높은 이슈다. 민주당에선 여권에서 차기 대선주자 호감도 1위인 이낙연 국무총리가 총선 전 총리직을 사퇴하고 총선에 직접 나설지 여부가 관심 대상이다. 여야 통틀어 대선주자 호감도 1위를 달리는 황교안 한국당 대표 역시 ‘정치 1번지’ 서울 종로와 같은 상징적인 지역에 직접 나설지, 비례대표 후순위 ‘배수진’을 치며 선거를 총지휘할지 주목된다. 총선 출마 가능성이 높은 여권의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야권의 김병준 전 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의 행보도 주목 받는다.

거대 양당인 민주당과 한국당이 총선 공천룰을 결정하는 조직을 가동하는 등 선거 분위기가 서서히 달아오르면서 국회의 원심력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단 전망이 나온다. 당장 4월 임시국회의 개점휴업 상태를 두고도 여야 정쟁이 주요 원인이지만 ‘콩밭’에 마음이 가 있는 의원들의 의지 부족 역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국회의원은 4년 임기제라 임기를 1년 남겨둔 지금부터 레임덕 아닌 레임덕에 접어들어 연임 준비를 할 수밖에 없다”며 “공천 룰 얘기가 나올수록 국회는 어수선해지고 의원들은 지역구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꼬집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