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5·6공급대책]용산정비창, 8천가구 공동주택 단지 변신

김용운 기자I 2020.05.06 16:00:00

국토부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방안' 발표
서울 도심 내 역세권 철도 유휴부지 등에 신규 공급
용산역 철도정비창 2023년말까지 사업승인 예정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2022년 이후 서울 용산역 일대 철도정비창 부지에 8000가구가 들어선다.

6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 강화방안’(수도권 공급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서울 용산 철도정비창 등 공공기관 소유 부지와 공유지를 활용해 서울 도심 내 신규 주택 1만5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서울 용산역 철도정비창 부지와 서부이촌동 일대 전경(사진=용산구청)
먼저 역세권의 우수입지로 꼽히는 철도 유휴부지에 업무와 상업시설 및 주민편의시설 등과 연계한 주거 복합개발을 추진한다. 대표적인 곳이 용산역 일대 철도정비창 부지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 예정지로 주목을 받았지만 사업이 무산되면서 향후 용도를 놓고 예상이 무성했던 지역이다.

국토부는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에 8000가구 규모로 도심형 공동주택을 공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용산 철도정비창은 2021년 말 구역지정을 완료하고 2023년 말까지 사업승인을 할 계획이다. 용산 철도정비창 외에도 한국철도(코레일) 소유의 오류동역 유휴부지에도 470가구 규모의 신규 주택을 공급한다.

또한 중구 청사 부지(500가구), 흑석동 유수지(210가구), 해군복지단(110가구) 등 군 유휴부지, 공공청사부지 등 도심 국·공유지를 활용해 문화·체육시설 등과 연계한 공공주택 복합 건설도 추진한다. 사유지의 용도지역 변경 등에 따른 공공기여로 문화시설 등의 공공시설과 공공주택을 건설해 기부채납을 하는 방식으로도 신규 주택을 공급한다. 역삼동 스포월드(185호), 대치동 코원에너지(149호)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정부는 공공기관 소유 부지 및 공유지를 활용한 신규 공급 외에도 공공재개발 활성화를 통해 4만 가구 등 총 7만 가구를 서울에 신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오는 2022년까지 관련 법 개정 등을 마무리하고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박선호 국토부 1차관은 “이번에 용산정비창 철도 부지를 포함해 도심 역세권 등 입지가 우수한 18곳을 1만5000호를 공급 가능한 입지로 확보했다”며 “공공시설과 주택의 복합개발, 유휴 국·공유지, 철도부지 활용 등 다양한 도심 내 공급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