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마켓인]공격적 투자 나선 SK그룹...신평사들 "채무부담 대응 필요"

지영의 기자I 2023.08.24 19:06:29

수년간 공격적 확장 전략 편 SK그룹
2년 새 빌려온 돈만 40조 넘겨
신평사들 잇따라 재무건전성 대응 권고
하반기 수익 회복 추세가 관건

[이데일리 지영의 기자] 신용평가업계가 공격적인 인수합병(M&A)과 투자를 추진 중인 SK그룹에 대해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부채 부담이 점차 과중해지고 있어 재무건전성 훼손과 구조적인 신용도 조정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빌려온 돈 100조 넘긴 SK그룹에 신평사들 잇따라 대응력 점검

24일 나이스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SK그룹의 총 차입금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100조원을 넘어섰다. 코로나19 확산 직전인 2019년 말 기준 차입금 규모가 60조원대 수준이었음을 감안하면 60% 넘게 증가했다. 올해도 주력 계열사들의 운영자금·설비투자 관련 자금조달이 지속되고 있어 그룹 부채 부담이 치솟고 있다는 평가다.

SK그룹은 최근 수년 사이 기존 사업의 경쟁력강화 및 신사업 동력 확보를 위해 반도체·배터리·소재 등의 부분을 중심으로 연간 20조원이 넘는 대규모 투자를 지속해왔다. 사업부분 전반에 걸쳐 차입부담이 크게 늘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다.

특히 반도체 부문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순차입금이 19조7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6조9000억원 급증했다. 같은 해에 SK하이닉스가 인텔 NAND 사업부문을 인수하면서 약 8조원 수준의 자금을 지출한 영향이 컸다. 정유화학 부문도 지난해 말 기준 순차입금이 19조7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6조9000억 늘었다. SK이노베이션의 연간 투자지출 규모가 7조1000억원 수준에 달해 현금창출 규모 대비 지출이 크게 웃돌았다.

재무부담에서 특징적인 우려요인은 지난해부터 그룹의 차입금 만기가 전반적으로 짧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한기평은 지난해 말 합산 기준 총차입금(108조900억원) 중 단기성차입금 비중이 36.6%에 달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기평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반도체 및 정유화학 부문을 중심으로 영업현금창출역이 저하되면서 자금소요에 대한 외부 조달 부담이 확대됐다”며 “그런데 주요국 통화 긴축 전환 및 레고랜드 사태 여파 등으로 금융시장이 경색돼 장기성 차입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은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룹 계열사 전반에 부채부담이 늘어난 가운데 영업 수익 창출력까지 흔들리고 있다. SK그룹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조5000억원 감소했다. SK그룹의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 대비 순차입금 규모는 지난해 말 1.9배에서 지난 1분기에는 5.4배를 기록했다.

신용도 조정 우려 스멀스멀...관건은 현금창출력 향상·차입금 부담 관리

신평사들은 그룹의 중단기 신용도 방향성에 대해 우려의 시각을 표했다. 주력사업이 견고한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더라도 과중해진 재무부담을 적기에 관리하지 못하면 그룹 신용도 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그룹은 배터리와 소재,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가 지속될 예정으로, 당분간 차입금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늘어난 채무부담, 주요 사업부문의 실적둔화, 대규모 투자계획 등을 고려할 때, 그룹의 신용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이어 “반도체 부문의 실적 부진이 장기화되거나, 대규모 투자 지속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부문의 사업안정화 지연등으로 그룹의 채무상환능력 저하가 심화될 경우 SK그룹 전반의 신용도 저하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우려했다.

한기평도 “올해 하반기 이후 반도체, 정유화학 및 배터리부문의 점진적인 수익성 회복이 예상되나, 빠르게 높아진 차입부담에 대한 자본시장의 우려, 매크로 요인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등을 고려해야 한다”며 “계획된 투자를 위한 추가 자금 여력 확보가 일정수준 제약 받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확장 전략으로 비롯된 재무안정성 저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며 “유상증자, 투자지분과 비핵심자산 기반의 자금조달 등 추가 차입을 억제하는 재무전략이 적극적으로 요구되며, 주력사업 실적변동성을 감안한 투자 완급 조절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