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정부, 5년간 사이버 보안 인재 10만명 키운다

김국배 기자I 2022.07.13 19:31:32

관계부처 합동 발표…"5년 뒤 신규 인력 수요 4만명 발생"
윤석열 대통령,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 첫 참석
"사이버 안보, 전략 산업으로 육성"
''S-개발자'' ''화이트해커 스쿨'' 신설
''사이버 탈피오트&ap...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정부가 향후 5년간 사이버 보안 인력 10만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사이버 위협이 나날이 커지는 만큼 제품 개발, 보안 관리, 사고 대응 등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인력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11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이 개최된 13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런 내용이 담긴 ‘사이버 10만 인재 양성 방안’을 발표했다. 신규 인력 4만명을 양성하는 동시에 재직자 역량 강화를 통해 6만명을 공급하는 게 골자다.



특히 이날 경기 성남 판교 정보보호 클러스터에서 열린 기념식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해 사이버 안보 강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이 행사에 대통령이 직접 참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10만 사이버 보안 인재 양성은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사이버 안보 기술을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며 “부다페스트 협약(유럽 사이버 범죄 협약) 가입을 신속히 추진해 사이버 규범 수립을 위한 국제 공조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5년 뒤 약 4만명의 신규 인력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정부는 2026년까지 정보보호 특성화 대학과 융합보안대학원을 각각 10개, 12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는 각각 3개, 8개다. 산업계에서는 사이버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대학이 감소해 전문 지식을 갖춘 인재가 부족하다고 호소해왔다. 자율주행차 등 IT와 분야별 산업을 함께 이해하는 융합 보안 인력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또 내년부터는 최고급 개발 인력을 육성하고자 IT 개발 인력을 선발해 보안 교육·창업을 지원하는 ‘S-개발자’ 과정을 신설하며, ‘화이트해커 스쿨’ 과정도 만든다. 김정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인력의 양적 확대 뿐 아니라 최정예 화이트 해커 등 인력의 질적 강화를 함께 도모하는 것이 이번 정책의 추진 방향”이라고 했다.

누구나 쉽게 보안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실전형 ‘사이버 훈련장’도 현재 1개에서 5개로 늘린다. 한미 정상회담의 후속 조치로 미 사이버 보안 관련 기관과 국내 침해 대응기관 간 인력 교류를 넓히는 등 사이버 인력의 해외 진출도 지원한다.

정부는 사이버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 작전·수사 분야 전문대·대학·대학원 과정을 신설한다는 방침이다. 군 사이버 안보 인력의 취·창업 연계를 지원하는 ‘사이버 탈피오트’도 도입한다. 사이버 예비군을 창설해 민간 인력을 사이버군 예비 인력으로 조직화한다. 유사시 군 사이버작전 수행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