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021국감]"5개월간 수사 뭉갰나"…경찰 '대장동 늑장수사' 집중 질타

김대연 기자I 2021.10.05 17:34:11

'대장동 의혹'…검·경 합동수사 요구 빗발쳐
경찰청장 "철저하게 수사해 의혹 해소 노력"

[이데일리 김대연 기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경찰이 지난 4월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부터 경기도 성남시 대장동 개발 사업 특혜 의혹 관련 자료를 받고도 언론 보도가 나온 지난달까지 5개월간 늑장 수사를 했다는 질타가 이어졌다.

김창룡 경찰청장이 10월 5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찰청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 부친이 거주했던 서울 연희동 자택을 화천대유자산관리의 대주주인 김만배씨 누나가 매입했다는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을 듣고 있다. (사진=뉴스1)
5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13층에서 열린 행안위 경찰청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화천대유와 관련한 수상한 자금 흐름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도 경찰 수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점을 집중 추궁했다.

경찰청은 이 사건을 서울 용산경찰서에 배당한 뒤 5개월 동안 입건 전 조사(내사)만 진행해 수사 의지에 대한 비판을 받고 있다. 현재는 경기남부경찰청 전담수사팀이 사건을 이송받아 대장동 특혜 의혹과 곽상도 무소속 의원의 아들이 퇴직금 50억원을 받았다는 의혹 등을 수사 중이다.

이날 국정감사에서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이슈인데 경찰은 지난 4월부터 무능인지, 권력 눈치 보기 때문인지 수사를 못하고 묵살했다”며 “지난달 언론 보도를 통해 부각됐지만 변죽만 울렸을 뿐 수사가 진척된 게 무엇이 있느냐”고 질타했다.

이어 서 의원은 “경찰청 사무분장 규칙을 보면 FIU 관련 업무 규정이 서울경찰청에는 없고 경기남부경찰청에는 있다”며 “결과론적으로 보면 서울경찰청이 이것을 빌미로 시·도경찰청이 해야 할 사건을 용산경찰서로 넘겨 뭉갠 것이 아니냐는 의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또 검찰과 경찰의 구체적인 합동 수사 논의가 아직까지 단 한 차례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검·경 합동수사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이 “검찰과 경찰이 합동수사를 논의한 적이 있느냐”고 묻자 김창룡 경찰청장은 “아직 없다”고 답했다.

김 청장은 약 5개월 동안 수사가 지연된 이유에 대해 “최초 배당을 경제팀에 해서 다른 사건과 함께 수사해 시간이 걸렸다”며 “경찰은 통보 받은 자료를 분석해서 혐의를 하나씩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구준 국가수사본부장도 “경찰 초기 판단에 대해 아쉽게 생각하고 지금은 수사 체계를 재조정해서 의지를 갖고 수사하고 있다”며 “결과적으로 아쉽긴 하지만 뭉갠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검찰과 경찰이 각자 수사를 진행하기보다 특검을 도입해 수사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의견도 많았다. 박완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검·경이 이중으로 조사하고 자금을 추적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하자, 김 청장도 “합동수사본부도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며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