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행히 급식대란은 피했지만…학부모들 `부글부글`

오희나 기자I 2020.11.19 16:31:28

서울 급식조리사, 퇴직연금 제도개선 요구 '파업'
돌봄전담사, 내달초 2차 파업 예고
코로나 재확산 시국에 학생 볼모 파업 '비난'

[이데일리 오희나·신중섭 기자] 서울 지역 학교 급식조리사와 영양사 등이 퇴직연금제도 개선을 요구하며 19일부터 이틀간 파업에 나섰다. 저조한 참여율로 우려했던 급식대란은 면했지만, 등교 확대 한 달여 만에 돌봄전담사에 이어 급식조리사까지 파업에 나서자 학부모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19일 서울시교육청 앞에서 열린 서울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총파업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급식중단율은 3.5%(36개교)로, 우려했던 급식대란은 없었다. 그러나 일부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불편을 겪었다. 급식이 중단된 대부분 학교가 빵, 음료 등으로 대체했다. 돌봄교실도 8개 학교가 참가한 데 그쳐 98.7%가 정상 운영됐다.

이날 서울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퇴직연금제도 전환을 촉구하며 파업에 돌입했다. 파업에는 1500명 가량이 참여했다고 주최 측은 주장했다. 서울학비연대는 그동안 서울시교육청을 상대로 퇴직연금을 확정기여(DC)형에서 확정급여(DB)형으로 전환해 달라고 요구해 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이틀간 파업을 강행했다. 서울시교육청은 노조 요구 수용 시 향후 20년간 9000억원이 추가 소요된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지난 6일 전국 돌봄파업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1.5단계로 격상되고 대학수학능력시험까지 앞둔 상황에서 교육청의 재정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2차 파업을 강행하는 것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며 “노조 요구를 전면 수용할 경우 현재 교육청의 재정 부담이 너무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돌봄교실 지자체 이관 반대와 전일제 전환을 요구하고 있는 돌봄전담사들이 내달 초 2차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하면서 학부모들의 우려가 높다. 학생을 볼모로 한 잦은 파업에 비난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 16일 서울시교육청 시민청원 게시판에는 교육공무직 노조의 돌봄·급식 파업을 비판하는 청원이 올라와 나흘 만에 8790명의 동의를 얻기도 했다. 청원인은 게시글에서 “교육공무직이 매년 학생을 볼모로 파업하고 있다”면서 “교육청에서 사용하는 세금은 가장 먼저 학생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교과교사를 매년 감축하고 임용 인원도 줄이면서 그 돈으로 책임 소재도 없는 교육공무직들 복지를 챙겨주려고 하나”면서 “차라리 비교과 교사 제외한 인원 계산해서 학급당 인원을 줄여달라”고 요구했다.

교원단체와 학부모단체들도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날 59개 교육·시민사회·학부모단체는 정부차원에서 근본적인 파업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노동조합법을 개정해 학교를 필수공익사업장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로나19가 재확산세를 보이는 가운데서도 돌봄파업에 이어 급식파업까지 이어지면서 학부모들의 피로도도 높아지고 있다. 당장 내달 초 돌봄파업이 현실화되면 아이들을 맡겨야 할 곳을 찾아야 하는 맞벌이 가정도 막막한 상황이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김 모(41)씨는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아이들 걱정에 조마조마하고 애가 탄다”며 “이런 시국에 학생을 볼모로 급식파업에 돌봄파업까지 한다니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