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격 확대·소음 감소"…전기차시장 공략 나선 타이어업체들

손의연 기자I 2021.08.12 16:51:28

한국타이어, 18·19인치 등 규격 확대…"차종 확대 대비"
넥센타이어, 패턴 설계 최적화해 핸들링 성능 ↑
금호타이어, 흡음 기술 적용해 차량 공명음 최소화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올해 전기자동차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면서 타이어업계도 전기차 전용 타이어를 속속 내놓으며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한국타이어 키너지 AS ev 1 (사진=한국타이어))
상반기 전기차 등록대수 전년비 78%↑

12일 데이터연구소 카이즈유에 따르면 올해 1~6월 전기차 신차 등록대수는 3만9302대로 전년(2만2080대)보다 78%(1만7222대) 늘었다. 탄소 중립이 글로벌 트렌드로 떠오른 만큼 전기차 시장은 더욱 가파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타이어업계도 이에 발맞춰 전기차 전용 타이어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전기차는 일반 차량보다 약 100~300킬로그램(㎏)가량 무겁기 때문에 일반 차량에 쓰이는 타이어를 쓰면 마모가 심해 타이어 수명이 줄어들고 소음도 커진다. 전기차용 타이어는 낮은 회전저항과 △저소음 △내마모성 △높은 구동력 등을 갖춰야 한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61390)는 전기차 전용 타이어 ‘키너지 EV(Kinergy AS ev)’의 규격을 확대해 출시했다. 기존 16인치와 17인치에서 18인치와 19인치까지 규격을 넓혔다. 전기차 시장이 확대돼 다양한 종류(세그먼트)의 전기차가 출시될 것에 따른 조치다.

한국타이어는 글로벌 완성차기업들의 전기차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키너지EV는 지난 7월 시작한 폭스바겐의 ‘ID.4 미국 투어’ 프로젝트 차량에 장착돼 오는 10월까지 버지니아 주 등 미국 48개 주를 누빈다.

한국타이어는 또 지난해 포르쉐 최초 순수 전기차 ‘타이칸’에 신차용 타이어 ‘벤투스 S1 에보3 ev’를 공급했다. 한국타이어는 올해 들어 아우디 브랜드 최초의 순수 전기 스포츠카 모델인 ‘e-트론 GT’와 폭스바겐의 최초 순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인 ‘ID.4’에도 신차용 타이어를 공급하고 있다.

넥센타이어 기아 EV6에 신차용 타이어 공급 (사진=넥센타이어)
기아 전기차 EV6 등에 타이어 공급

넥센타이어는 기아의 ‘EV6’에 신차용 타이어를 공급한다. 넥센타이어는 신차용 타이어에 마모 성능과 흡음기술을 적용했다. ‘로디안 GTX EV’는 타이어의 안전성, 내구성, 저소음 등 전기차에 필요한 요구 성능들을 모두 갖췄다.

‘엔페라 스포츠 EV’는 패턴 설계 최적화를 통해 빗길과 마른 노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고속 주행 안정성과 핸들링 성능을 대폭 높였고 그립 특화 컴파운드를 적용해 접지력과 제동력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넥센타이어는 지난해 미국의 전기차 스타트업 카누와 신차용 타이어 공급을 체결하기도 했다.

금호타이어 전기차용 타이어 (사진=금호타이어)
금호타이어는 2013년 국내 최초로 전기차 전용 타이어를 내놨다. 금호타이어는 기아 EV6에 신차용 타이어 ‘크루젠 HP71’과 ‘엑스타 PS71’ 등을 공급한다. 두 제품은 모두 금호타이어의 ‘흡음기술(K-Silent)’이 적용된 공명음 저감 타이어다. K-Silent는 타이어에 부착하는 흡음재 디자인과 면적, 폭 넓이 등을 고려한 형상 설계가 핵심이다. 타이어 내부에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흡음재도 부착해 타이어 바닥면과 도로 노면이 접촉하면서 내는 소음을 감소시켰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주요 완성차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전기차를 출시하고 있는데다 배터리 기술 발전과 환경 문제 등을 고려하면 전기차 시장은 빠르게 확대될 것”이라며 “타이어 업체들도 완성차업체들의 빠른 사업 전환에 맞춰 차별화된 기술과 제품 개발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