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텃밭 '경기북부' 놓친 與, 野현역 아성 뚫어낼까[4·10지역돋보기]

조민정 기자I 2024.02.14 17:26:04

與, 보수세 약화에 21대서 포천·동두천연천 2곳만 당선
동두천연천, 선거구 획정 변수…지역구 쪼개질 수도
조응천 탈당한 남양주갑, 여당 입장서 해볼만
7번 총선서 민주당 독주 의정부, 오영환 불출마에 격전지로

[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북한과 접경한 경기 북부는 전통적으로 보수색이 짙은 지역이지만 이마저도 옛말이다. 지난 21대 총선에서 포천과 동두천·연천을 제외한 지역구에서 모두 더불어민주당이 승기를 휘어잡으며 공고히 입지를 다져온 여당 텃밭이 흔들렸다. 22대 총선에서는 여당이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14일 경기도 의정부시 경기도북부청사 태양광발전시설에서 열린 공공기관 RE100 이행 기념식에서 공개된 발전시설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與 10곳 중 2곳 ‘불과’…포천도 3.6%p로 간신히 승리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경기 북부 중 민주당이 현역으로 있는 지역구는 파주갑·을, 의정부갑·을, 양주, 남양주갑·을·병 등 총 8곳이다. 이 중 현역 의원 5명이 최소 2선 이상으로 지역구를 탄탄하게 선점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포천과 동두천·연천 등 국경선과 완전히 맞닿아 있는 지역구 2곳만 차지하고 있다. 20대 총선에서 포천, 의정부을, 남양주병, 동두천·연천 등 4개 지역을 탈환한데 비해 절반으로 줄어든 수치다.

안보 이슈가 있는 경기 북부는 경기 남부와 달리 과거 국민의힘 텃밭으로 불렸다. 다만 시대가 변하면서 90년대 이후 경기 북부도 도시화가 진행되고, 젊은 층에게 안보 문제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보수세가 점차 옅어졌다. 2000년대 이전까진 보수정당이 의석 수를 대거 가져갔지만 2000년대 들어서 민주당 지지세가 강해지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 총선에선 포천조차 여당이 간신히 승리하며 여당 텃밭이란 수식어가 무색해졌다.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최춘식 당시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후보의 득표율은 50.20%, 이철휘 민주당 후보는 46.6%로 3.6%포인트 차이로 접전을 벌였다. 20대 총선에서 24.44%포인트 차로 김영우 전 미래통합당 의원이 민주당을 압승한 기록에 비하면 눈에 띄게 줄어든 격차다.

동두천·연천의 경우 김성원 미래통합당 후보 득표율이 53.6%, 서동욱 민주당 후보가 45%를 보이며 8.6%포인트로 격차를 벌렸다. 경기 북부에서 여당이 여유롭게 승리한 유일한 지역이지만 현재 선거구 획정이 변수로 떠오르며 안갯속으로 흘러가고 있다. 동두천·연천은 동두천과 연천군이 각각 다른 지역구로 분리되는 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동두천·연천 현역인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이 출사표를 던지며 3선에 도전하지만 ‘박근혜 키즈’로 불리는 손수조 리더스클럽 대표가 출마하며 치열한 공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민주당에선 남병근 전 동두천·연천 지역위원장이 험지에 도전했다.

경기북부 21대 총선 득표율.(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무주공산 의정부갑 ‘문석균vs與’…野 현역 대거 재출마

더불어민주당에선 오영환(의정부갑, 초선) 의원을 제외하고 경기 북부를 쥐고 있는 현역 의원들이 모두 같은 지역구로 출마한다. 정성호(양주) 의원이 5선에, 윤후덕(파주갑) 의원이 4선에 도전한다. 박정(파주을)·김한정(남양주을) 의원이 3선에, 김민철(의정부을)·김용민(남양주병) 의원이 재선에 목표를 뒀다.

민주당을 탈당하고 개혁신당에 입당한 조응천 의원이 있는 남양주갑은 여당이 해 볼만한 지역구가 됐다. 조 의원과 민주당 후보가 표를 갈라먹을 가능성이 있어서다.

오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한 의정부갑 역시 최대 접전지가 될 예정이다. 의정부갑은 28년간 민주당이 독식한 ‘텃밭 중 텃밭’으로 국민의힘에겐 무주공산이 된 지역구를 탈환할 기회다. 현재 최영희 국민의힘 의원(비례대표), 전희경 전 대통령실 정무1비서관 등 6명이 치열한 공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민주당에선 6선을 차지한 문희상 전 국회의장의 아들 문석균 씨가 출마하며 아버지의 뒤를 이어 지역구 지키기에 나섰다.

전 전 비서관은 이날 공천 면접을 마치고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7번의 선거를 민주당이 독주하고 있는 상황이라 이번에야말로 변화를 갈망하는 시민들과 함께 과거, 미래 변화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여당의 탈환 의지를 다졌다.

제22대 국회의원선거

- `코인 논란` 김남국, 민주당 우회 복당하나 - 이기인, 개혁신당 대표 출마선언…“자유정당 모습 보이겠다” - 與, 원내대표 레이스 본격화…이철규 대세론 속 중진들 눈치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