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성장률 상향에도 한은, 하반기 금리 인하 여지 남겼다

최정희 기자I 2024.05.23 18:36:03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3.5%로 11회 연속 동결
올해 경제성장률 2.5%로 0.4%포인트 상향
"성장률 상향, 물가 영향 없다"…물가, 2.6% 전망 유지
"금리 인하 시점 불확실하나 물가 둔화시 인하 필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출처: 한국은행)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2.5%로 0.4%포인트나 상향 조정했다. 경제 성장세는 수출 덕분에 상향 조정되지만 수출 호조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판단, 물가 전망치는 2.6%를 그대로 유지했다. 물가 전망을 유지함으로써 한은은 하반기 금리 인하 여지를 남겨뒀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3일 본회의를 열고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하기로 했다. 11회 연속, 1년 4개월째 동결로 ‘최장 기간 동결’ 타이 기록을 세웠다.

이날 금통위의 핵심은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한은 예상을 깨고 전기비 1.3%, 전년동기비 3.4% 깜짝 성장을 한 만큼 얼마나 성장률을 상향 조정할 것인지, 그로 인해 물가상승률 전망치가 높아질 것인지로 모아졌다. 한은의 답은 성장률은 상향, 물가는 그대로였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을 종전(2월) 2.1%에서 2.5%로 0.4%포인트 끌어올렸다. IT부문 수출 개선, 미국 경기 호조 등 대외 요인이 성장률을 0.3%포인트 올렸고 소비 등 내수가 0.1%포인트 올렸다고 분석했다.

이 총재는 “순수출(수출에서 수입 제외)이 성장률 상향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는데 순수출이 물가에 주는 영향은 내수보다 제한적”이라며 성장률을 상향 조정해도 물가를 높이지 않은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물가상승률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전망하면 종전보다 소폭 올라간다”며 “물가는 상방 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하반기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훨씬 더 커졌다”고 덧붙였다.

물가 전망에 ‘상방 위험’이 커졌다는 것은 2.6%라는 숫자가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를 유지하기 위한 희망에 가까운 수치임을 시사한다.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전망치도 2.2%를 그대로 유지했다. 총재를 제외한 6명의 금통위원 중 1명은 석 달 뒤 금리 인하 의견을 2월부터 유지해오고 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이 총재는 금리 인하가 너무 빨라도, 너무 늦어도 안 된다고 평가했다. 그는 “너무 일찍 정책 기조를 전환할 경우 물가상승률의 둔화 속도가 느려지고 환율 변동성도 커지고 가계부채 증가가 나타나는 반면 너무 늦게 정책 기조를 전환할 경우에는 내수 회복세가 약화되는 가운데 연체율 상승 등 시장 불안이 커질 수 있다”며 “양 측면의 리스크를 종합 점검해 하반기 이후 통화정책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