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서울페이 벤치마킹한 소상공인 ‘제로페이’ 도입

박진환 기자I 2018.09.11 16:10:52

허태정 대전시장 소상공인·자영업 지원 종합대책 발표
자영업비서관제도 도입…민선7기 경제정책 방향 밝혀
2000개 스타트업육성 등 창업·일자리창출 선순환 유도

허태정 대전시장이 11일 중구 선화동의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회의실에서 소상공인·자영업 지원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대전시가 서울시의 서울페이를 벤치마킹한 소상공인 ‘제로페이’를 도입한다.

내년까지 QR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결재시스템을 도입해 자영업자의 카드수수료 부담을 경감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지역 소상공인 등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대전시장 직속의 자영업비서관제를 운영하기로 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11일 중구 선화동의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회의실에서 이 같은 내용의 소상공인·자영업 지원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허 시장은 소상공인 지원 종합대책과 함께 민선 7기 경제정책 방향도 밝혔다.

경제정책 방향으로는 ‘개방과 혁신으로 살찌는 대전경제 실현’이란 비전을 기반으로 혁신성장기반 구축과 왕성한 창업, 기업성장,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경제성장 플랫폼 구축을 위해 7대 분야별 추진전략과제를 담았다.

85개 사업에 3조 2000억원이 투입되는 7대 과제는 △창업으로 성공하는 대전 △기업이 성장하는 대전 △일자리 걱정 없는 대전 △특구와 협력으로 혁신생태계 조성 △대한민국 혁신성장 중심 대전 △신재생에너지 선도도시 대전 △소상공인과 농업인 행복한 대전 등으로 구성됐다.

사업별 핵심내용은 왕성한 창업 지원을 위해 권역별 5개의 스타트-업(start-up) 타운을 조성해 2000개 스타트업을 육성한다.

대전역세권에 민간자본을 유치해 10개 이상의 지식산업센터를 건립하고, 수출정책을 획기적으로 확대한다는 청사진도 포함됐다.

특히 민간중심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대전형 코업(co-op) 프로그램 도입과 사회적경제 활성화 정책을 비롯해 대덕연구개발특구와 협력을 위해 4차 산업혁명 실증화 사업과 및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사업을 수립하기로 했다.

소상공인·자영업 지원 종합대책으로는 내년도에 전년대비 278% 증액된 106억원이 투입된다.

구체적 사업별로 보면 소상공인 경영개선 이차보전액 54억원, 노란우산 공제 장려금 10억원, 영세자영업자 고용보험료 6600만원, 창업실패자 융자상환 지원 10억원, 신중년 일자리 지원 10억원 등이다.

허 시장은 “민선 7기 대전시의 가장 중요한 정책은 경제와 일자리 창출”이라며 “경제가 활성화되고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풍요로운 사회를 만들어야 인간다운 삶을 구현하는 정책도 탄력 있게 추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민이 변화된 정책을 체감할 수 있도록 모든 사업과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