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예상치 부합한 美1월 PCE…인플레 재반등 우려는 피해(종합)

김상윤 기자I 2024.02.29 23:29:51

美 1월 근원 PCE상승률 2.8%…전월대비 0.4% 상승
서프라이즈 없었지만, 시장예상치에는 부합
서비스물가 여전히 상승세...전월대비 0.6%↑
뉴욕증시 선물 소폭 상승세…국채금리 하락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연방준비제도(연준)이 물가흐름을 파악할 때 선호하는 1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상승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CPI)와 생산자물가(PPI)가 예상치를 크게 웃돈 것을 고려하면 이번 데이터는 인플레이션 반등에 대한 우려를 소폭 완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여전히 서비스물가가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연방준비제도(연준)이 금리인하 카드를 당장 테이블 위로 올려놓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PCE)
29일(현지시간) 상무부 경제분석국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연준)이 물가흐름을 파악할 때 선호하는 1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전년동월대비 2.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2.9%에 이어 소폭 내려왔고, 시장 예상치와 부합했다. 전월대비로는 0.4% 올랐다.

6개월 연율 기준 근원 PCE상승률은 2.5%다. 지난 두달 연속 2%를 하회한 이후 다시 반등한 셈이다.

에너지와 상품을 포함한 헤드라인 PCE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4% 상승했고, 전월대비로는 0.3% 올랐다. 이 역시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다.

PCE가 계속 상승세를 탄 것은 예상치 못한 개인소득 증가 때문이다. 개인소득 증가율은 1.0%로, 예상치(0.3%)를 크게 웃돌았다. 그럼에도 소비자지출은 0.1% 감소했다. 연말 쇼핑 시즌 호황 이후 5개월 만에 첫 감소였고, 예상치(0.2% 증가)를 밑돌았다. 여전한 고용시장 강세가 소비자지출을 뒷받침했지만,고금리와 채용공고 감소,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이 소비자 지출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서비스물가 상승세가 여전히 강하다는 것은 부담이다. 서비스 가격은 전월보다 0.6% 상승한 반면, 상품은 0.2% 하락했다. 전년대비로는 서비스는 3.9% 상승했고, 상품은 0.5% 하락했다.

이 때문에 연준이 인플레이션이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낮아지는지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는 견해를 여전히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준은 특히 상품이 아닌 서비스물가 둔화가 명확히 나타나야 금리 인하에 나설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연준이 오는 6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64% 정도다. 5월 금리인하 가능성은 21% 수준이다. 전날과 크게 변동이 없는 수준이다.

인디펜던트 어드바이저 얼라이언스의 최고투자책임자인 크리스 자카렐리는 “시장은 그간 인플레이션이 다시 가속화돼 연준이 금리 인상을 훨씬 더 오래 미루거나 더 나쁜 경우 금리 인상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걱정했다”며 “오늘 데이터로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고 말했다.

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 추이 (그래픽=트레이딩이코노믹스)
뉴욕증시 선물은 소폭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오전 9시20분 기준 다우지수 선물은 0.27%, S&P500지수 선물은 0.33%, 나스닥 선물은 0.61% 오르는 중이다. 10년물 국채금리는 1.4bp(1bp=0.01%포인트) 내린 4.26%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소비자들은 물가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저축을 계속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저축률은 3.8%로 12월보다는 약간 높았지만, 지난해 6월에 비해서는 1%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