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인천 광역버스 적자 폐선 속출…"52시간제 적용시 더 심각"

이종일 기자I 2019.05.13 16:31:29

M버스 노선 중단에 일반광역버스도 가세
지하철 늘고 버스 이용객 줄어 '경영악화'
업체 잇따라 폐선 검토 "52시간제 부담"
인천시 "준공영제 불가…요금인상 검토"

광역버스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제공)


[인천=이데일리 이종일 기자] 서울을 오가는 인천지역 광역버스업체가 적자 누적으로 잇달아 폐선에 나서고 있다. 이는 지하철 이용 증가 등에 따른 버스 승객 감소에 의한 것으로 향후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될 경우 폐선 업체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13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천지교통은 지난 11일 2500번(인천 계산동∼서울 공덕동) 일반광역버스 노선을 폐선했다. 올해 들어 이삼화관광의 광역급행버스인 M6635번(송도∼여의도), M6336번(송도∼잠실) 중단에 이어 3번째 폐선이다.

천지교통은 2014년 2500번 버스 7대를 투입했다가 승객 감소에 따른 적자 문제로 지난해부터 3대만 운행했고 경영 개선에 실패해 결국 중단했다. 천지교통 관계자는 “버스 1대당 하루 표준운송원가(노선 유지 기준)가 58만원인데 2500번은 이용객이 줄어 15만~20만원밖에 안됐고 적자가 쌓여갔다”며 “연간 적자가 4억원 규모이고 다른 노선 수익으로 적자를 돌려막는 것이 한계에 달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16일 폐선한 M6635번·M6336번 노선도 이삼화관광의 적자 누적에 의해 결정됐다.

광역버스 1101번(인천 마전동∼서울역)을 운행하는 신강교통도 폐선을 검토하고 있다. 2016년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으로 승객이 줄어든 1101번(9대 운행)은 연간 4억~5억원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

일부 업체는 국토교통부의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 검토 계획을 기대하고 있지만 현실 가능성에 있어서는 회의적이다.

신강교통 관계자는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바라보고 여기까지 왔지만 점점 버티기가 힘들다”며 “국토부가 준공영제를 검토한다지만 언제 될지 알 수 없다. 상황을 보면서 폐선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버스업체들은 내년 1월부터 50인 이상 300인 미만 사업장에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되면 노선 운행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인천에서 서울을 오가는 전체 광역버스 노선 23개를 운행하는 업체 10곳은 모두 300인 미만 사업장으로 내년 1월부터 52시간제를 적용해야 한다. 광역버스 노선은 현재 20개 안팎이 적자로 운행되고 있다.

신강교통 관계자는 “버스기사의 인건비 인상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52시간제로 인한 인력 채용까지 늘려야 한다면 업체는 2중고를 겪게 된다”며 “광역버스 운행이 어려워져 감차를 하면 시민 불편이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천지교통 관계자는 “2500번을 제외하고 광역버스 1300번(인천 청학동~서울역)·1301번(인천대~서울역)·1302번(인천 남동구~서울역)을 운행하고 있는데 현재 인력으로 52시간제를 적용하면 차량을 50%밖에 가동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현재 임금 수준으로 인력 채용이 어렵고 채용해도 재정부담이 커져 유지할 수 없을 것”이라며 “폐선 업체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광역버스 승객이 줄어든 것은 그만큼 시민의 수요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런 상황에 인천시가 막대한 재정을 투입해 버스업체를 지원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연간 1300억원을 투입하는 상황에 광역버스 준공영제까지 할 경우 연간 450여억원이 추가로 들어간다”며 “매년 버스 보조금 규모가 커지기 때문에 인천시가 감당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광역버스 요금 인상 등의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