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 기준금리 올렸지만...끝이 보인다

김상윤 기자I 2023.07.27 18:07:26

연준 0.25%p인상...한미 2%p差
추가 금리인상에 모호한 스탠스…"데이터 볼 것"
'매파 본색' 누그러뜨린 파월 월가 금리인상 종료 해석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미국 금리가 5.25~5.50%로 올라 2001년 1월 이후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 됐다. 한국(3.5%)과 미국의 금리차는 역대 최대인 2%포인트로 벌어졌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진=AFP)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0.25%포인트 금리인상을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이는 연준이 지난해 3월부터 인상 사이클에 돌입한 이후 11번째 금리 인상이다. 지난달 동결 이후 다시 인상한 것이다. 연준은 여전히 2%대 인플레이션 목표를 고수했다.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추가 금리인상 여부에 대해서는 다소 모호한 태도를 취했다. 그는 “추가적인 긴축이 필요할지에 대해서 아직 결정내리지 않았다”며 “9월 회의에서 금리를 다시 인상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금리동결을 선택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다음 회의까지 약 두 달 동안 주요 경제지표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뜻이다. 다만 “연내 금리 인하는 없다”고 강조했다.

월가는 파월 의장의 발언이 모호하기는 하지만 ‘매파 본색’을 누그러뜨린 것만으로도 긴축 사이클이 사실상 끝난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한미 금리 역전폭 확대에 대해 정부와 한국은행은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지만 외환시장의 불안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내외금리차가 2%포인트까지 확대돼 불확실성이 다소 확대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도 있지만, 자본 유출입과 환율 변동의 경우 내외 금리차뿐만 아니라 국내 경제·금융 상황, 글로벌 경제·금융 여건 등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며 “외국인 투자자금은 순유입이 지속되고 있고 환율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외화자금 시장 역시 양호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