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어린이집 등원도 10인 제한?…휴원 연장에 학부모 `멘붕`

김기덕 기자I 2020.08.25 17:41:00

거리두기 2단계 조치로 어린이집 휴원 또 연장
긴급보육 이용률 80%대에서 50% 아래로 `뚝`
외벌이 가정 이용·인원 제한 등 놓고 현장 혼란
3단계시 강제 휴원…“이용률 30~40% 떨어져야”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어린이집에 등원하는 원아 인원을 줄이려고 긴급돌봄교실에 10명 이상 참여하지 말라고 서울시가 공지를 내렸다는데 맞나요?”

방역당국 관계자가 서울 송파구 한 국공립잠실어린이집에서 방역활동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제공)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시행으로 예정됐던 개원이 전면 취소된 어린이집 일선 현장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미 지난달 서울 지역은 긴급보육 이용률이 80%를 넘어설 정도로 긴급돌봄교실이 꽉 찼다. 이런 상황에서 등원 자제를 요청하자 가정 보육이 어려운 맞벌이 부부 가정은 멘붕에 빠졌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어린이집에도 확진 사례가 잇따르자 학부모들은 이러지도 저리지도 못하는 난감한 상황이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어린이집 긴급보육 이용률은 지난 3월 13.4%(3월2일 기준)까지 뚝 떨어졌다가 △4월 43.9%(4월9일) △5월 68%(5월7일) △6월 72.1%(6월4일) △7월 83.2%(7월23일)로 꾸준히 올라갔다.

현행법상 감염병 등 긴급한 상황 발생 시 보건복지부 장관은 전국 어린이집에 휴원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또 시·도시사나 시·군·구청장도 자율적으로 어린이집 원장에게 휴원 조치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울은 지난 2월25일부터 휴원했던 어린이집 5420곳의 문을 175일 만인 이달 18일부터 열기로 했지만, 지난 16일 거리두기 2단계 격상으로 휴원을 재차 연장하기로 했다.

휴원 연장 조치에 학부모들도 난감하기만 하다. 서울 영등포구에 거주하는 가정주부 이 모씨는 “올 2월 코로나 사태 이후 맞벌이 가정 등에 눈치가 보여서 어린이집에 안 보낸 것도 있었는데, 이번에는 주변 어린이집에 확진자가 나타나는 등 등원 자체가 아예 불가능해졌다”면서 “언제까지 집에서 뒤치다꺼리를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푸념했다.

일부 맘카페에서는 `어린이집 등원을 돌봄교실당 10명 이하로 제한해야 하냐`, `외벌이 가정은 아예 못 보내는 것 아니냐` 등의 질문이 쏟아지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어린이집 내 감염사례가 늘고 있어 맞벌이나 한부모 가정 등 가정 돌봄이 어려운 경우가 아니라면 등원을 자제해 달라는 공문을 내린 것은 사실이지만 어디까지나 권고 차원이지 인원 등을 제한하는 것은 하지도, 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거리두기 2단계 격상 이후 보름도 안돼 긴급보육 이용률도 급격히 줄었다. 지난 23일 기준 서울 지역 긴급보육 이용률은 46.7%로 50% 이하로 뚝 떨어졌다. 전국 기준 긴급보육 이용률은 50.7%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어린이집에서 확진 사례가 잇따르자 가정 보육이 불가능한 맞벌이 부부 등을 제외하고는 어린이집 등원 자제를 권고하는 방안을 내릴 방침이다. 실제 지난 16일에는 강동구 한 어린이집에서는 원아 부모의 감염 탓에 지난 24일까지 어린이집 교사, 실습생, 원아 등이 추가로 19명이 확진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최근 잇따르는 어린이집 감염은 보호자나 교사를 통한 감염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거리두기 조치로 긴급보육 이용률이 30~40%대로 떨어져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만약 상황이 악화돼 3단계로 격상되면 어린이집은 지금처럼 권고 차원이 아닌 강제적으로 휴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