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BOJ "장기금리 1% 넘어도 용인"…대규모 완화 틀은 유지(종합)

방성훈 기자I 2023.10.31 16:57:39

BOJ, 30~31일 통화정책회의…석달만에 YCC 또 수정
우에다 "억누르면 부작용 커질수 있어…유연성 강화"
시장 "기대 못미쳐…사실상 대규모 완화 유지" 실망
달러·엔, BOJ 발표 직후 150엔대 재진입…엔저 가속화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일본은행(BOJ)이 대표적인 양적완화(QE) 정책인 수익률곡선제어(YCC) 정책을 3개월 만에 또 수정했다. 대규모 금융 완화의 큰 틀은 유지하되, 장기금리인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가 1%를 초과해도 일정 부분 용인하기로 했다. 올해와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상향 조정해 출구전략을 본격화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달러·엔 환율이 150엔대에 재진입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 (사진=AFP)


대규모 완화 틀 유지해 시장 ‘실망’…달러·엔 150엔 재진입

31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BOJ는 이날까지 이틀간 진행한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장기금리 지표인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가 1%를 초과해도 시장 상황에 따라 일정 부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단기금리를 -0.1%로 동결하고 10년물 금리를 0% 정도로 유도하는 등 대규모 완화 정책의 큰 틀은 유지하기로 했다. 상장지수펀드(ETF) 매입 정책 역시 변경하지 않았다.

이날 BOJ의 정책 변경은 지난 7월 말 회의에서 YCC를 수정한 지 3개월 만에 이뤄진 것이다. 당시 BOJ는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가 변동폭 상한인 0.5%를 초과해도 1%를 넘지 않으면 무제한 매입에 나서지 않기로 했다. 이날은 변동폭 상한을 0.5%에서 1%로 높이고 1% 초과시에도 어느 정도 눈감아 주기로 한 것이다. 다만 1% 초과시 어느 수준까지 용인할 것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경제적)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YCC 정책 운용에 대한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며 “장기금리를 1% 이하로 강하게 억누르면 부작용도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1% 초과시 허용 폭과 관련해선 “상한을 정했다가 근접했을 때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싶다”며 “장기금리 수준, 변동 폭, 속도 등에 따라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일 장기금리 격차가 벌어진 것이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최근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5%를 넘어서면서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도 꾸준히 상승 압박을 받고 있다.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날 0.890%까지 치솟은 데 이어, 이날 오전에는 0.955%까지 뛰었다. 2013년 5월 이후 최고 수준으로, 1%에 바짝 다가섰다.

엔화 가치 역시 금리 격차가 확대하며 달러당 150엔을 수차례 넘어서는 등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이와 관련, 우에다 총재는 “정부와 긴밀히 연계해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면서도 “환율의 움직임이 물가 전망을 크게 바꾸는 경우에는 정책 변경과도 연계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장에선 긴축 강도가 예상보다 약해 실망스럽다는 평가가 이어졌다. 실제 이날 BOJ 발표 직전인 정오까지만 해도 달러·엔 환율은 149.42~149.46엔 사이에서 움직이며 강세 흐름을 보였으나, BOJ 발표 직후엔 150엔대에 재진입해 엔저가 가속화했다.

닛케이기초연구소의 이데 신고 수석전략가는 “장기금리 1%를 조금 넘는 것을 용인한 것 외에 실질적으로는 크게 변한 게 없다. 금융완화를 축소하겠다는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며 “사실상 완화 유지”라고 평가했다. 이어 “(긴축 전환을) 경계하고 있던 시장 참가자들이 적지 않아 시장이 엔저 방향으로 반응했다”고 덧붙였다.

올해·내년 물가 전망 상향…출구전략 본격화하나

BOJ는 이날 통화정책 결정과 함께 ‘경제·물가 정세 전망’ 보고를 발표하고,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전망치(전년 대비)를 각각 2.8%로 상향 조정했다. 지난 7월 전망치 2.5%, 1.9%에서 각각 0.3%포인트, 0.9%포인트 높인 것이다. 2025년 전망치도 1.6%에서 1.7%로 올렸다. BOJ는 “국제유가 상승, 엔화 약세로 물가가 다시 상승 압력을 받고 있다”며 “수입물가 상승이 둔화될 것으로 봤지만, 소비자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예상을 웃돌면서 물가가 크게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는 물가상승률이 지난해 3%에 이어 올해와 내년에도 3%에 근접하는 등 BOJ 목표치인 2%를 크게 웃도는 상황이 3년 연속 이어질 것이라는 의미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BOJ가 마이너스 금리 해제, YCC 정책 폐기를 본격 검토하는 등 대규모 금융완화에 대한 출구전략을 모색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다만 우에다 총재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2% 물가 목표 달성에는 아직 이르지 못했다”며 “내년 봄 노사 임금 협상이 중요한 포인트”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