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명품보다 가성비"…디자이너 브랜드가 뜬다

백주아 기자I 2022.07.13 18:05:55

개성과 가성비 동시에 살린 제품 인기
메르디마크르디·마땡킴·프렌다 등
명품 보복 소비 대신 가치 소비 경향 두드러져

[이데일리 백주아 기자] 최근 신진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제품이 인기다. 고물가 시기 합리적인 가격대가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아서다. 특히 개성을 중요시하는 MZ세대의 요구를 충족시킨 점도 성공 요인으로 풀이된다.

왼쪽부터 프렌다, 마르디메크르디, 마땡 킴 제품. (사진= 각 사)
13일 업계에 따르면 마르디메크르디, 마땡킴, 그로브, 프렌다 등 온라인 중심 여성 패션 브랜드의 거래규모가 전년대비 평균 2배 이상 오른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폭풍 성장 중인 대표적인 브랜드에는 마르디메크르디가 있다. 이 회사는 브랜드 시그니처 ‘마르디 플러워’ 심볼과 로고 플레이 티셔츠로 입소문을 타 지난해 16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5배 증가한 규모다. 올해 1분기에만 1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연간 매출 목표도 500억원 높여 잡았다.

디자이너의 팬덤 효과를 본 브랜드도 있다. 김다인 대표가 SNS(사회관계망서비스)로 시작한 브랜드 ‘마뗑 킴’은 김 대표의 스타일링 추종자들로 인기를 끌며 지난 지난해 매출이 200억원으로 전년(40억원) 대비 5배나 급증했다.

디자이너 브랜드가 인기를 끌면서 패션 플랫폼도 단독 입점 브랜드를 확대하며 거래액을 높이는 추세다.

무신사가 운영하는 ‘29CM’가 입점한 편안하면서도 스타일리시한 무드의 여성 패션 브랜드 ‘프렌다’는 올해 상반기 거래액이 전년대비 418% 성장했다. 밀리터리, 스포츠웨어, 빈티지 기반의 남성 디자이너 브랜드 ‘슬릭앤이지’는 같은 기간 거래액이 1145%나 성장했다.

디자이너 브랜드 인기가 높아지면서 브랜드 수도 증가 추세다. 온라인 패션 플랫폼 W컨셉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으로 집계한 입점 디자이너 브랜드 수는 7500개로 지난 2019년(6000개)대비 25% 늘었다.

W컨셉 관계자는 “단독 브랜드인 모한의 경우 브랜드의 대표 디자인인 일상적인 분위기를 담은 봄버 점퍼와 원피스 제품이 큰 반응을 얻고 있다”며 “의류 외에 분크, 아뜰리에드루멘, 마지셔우드 등 디자이너 가방 브랜드의 지난달 매출도 전년동기 대비 35% 늘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명품 패션에 아낌없이 지갑을 열던 MZ세대가 최근 물가의 고공행진으로 가성비를 따지는 소비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디자이너 브랜드의 경우 개성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만큼 합리적인 가격대의 스타일링이 가능해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가 높다는 분석이다.

명품 업계 관계자는 “백화점 등 오프라인 명품 매장은 여전히 오픈런 등의 인기가 높다”면서도 “온라인 명품 플랫폼의 매출 감소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점은 젊은 세대들이 명품 소비를 줄이고 있다는 신호”라고 했다. 이어 “명품에 지갑을 열던 MZ 세대들이 가치 소비 유행을 따라 디자이너 제품에 대한 인기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