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5월 도매물가도 '둔화'…"연준 금리인하 자신감 키웠다"(종합)

김상윤 기자I 2024.06.13 22:28:24

5월 PPI 전월대비 0.2% 하락..예상치 하회
에너지가격 하락…전체 물가 끌어 내려
국채금리 뚝…뉴욕증시 선물도 소폭 상승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소비자물가에 이어 도매물가도 둔화되고 있다는 데이터가 추가로 나왔다. 연방준비제도(연준)이 금리인하에 나설 확신이 보다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13일(현지시간) 노동부에 따르면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대비 0.2% 하락했다. 7개월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다우존스 예상치(0.1% 상승)를 크게 하회했다. 전월(0.5%상승)과 비교해서도 크게 둔화한 수치다. 지난해 5월과 비교하면 2.2% 늘었고, 이 역시 예상치(2.5%)를 밑돌았다.

식품·에너지·무역 서비스를 제외한 근원 PPI는 전월대비 보합이었다. 시장 예상치는 0.3% 상승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2% 상승했다.

PPI가 뚝 떨어진 것은 에너지 가격이 4.8% 하락한 게 큰 영향을 줬다. 휘발유를 비롯해 디젤, 상업용 전력, 제트 연료 가격도 하락했다. 이에 따라 상품가격은 0.8% 떨어지며 10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서비스 가격은 변동이 없었다.

PPI 보고서는 5월 CPI에 이어 발표된 것으로, 광범위한 인플레이션 하락을 보여줬다.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간주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1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 2%를 향한 완만한 진전이 추가로 있었다”고 평가한 바 있다.

특히 연준이 선호하는 5월 개인소비지출(PCE)물가지수도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PPI 중 항공료(-4.3%), 포트폴리오 관리서비스(-1.8%), 의사진료비(보합) 등 여러 항목이 약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뉴욕증시는 상승폭을 키웠고, 국채 수익률은 하락했다. 오전 9시20분 기준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2.6bp(1bp=0.01%포인트) 하락한 4.269%를, 2년물 국채금리도 4.7bp 내린 4.703%를 기록 중이다. 나스닥지수 선물과 S&P500지수 선물도 상승세를 타며 사상 최고치를 또 다시 경신할 준비를 하고 있다.

연준-월가 금리 전망 엇박자

- 연준 카시카리 “12월 금리 인하 예측은 합리적” - 하커 연은 총재 "올해 한차례 금리인하가 적절" - '금리인하 기대' 돌아온 외국인…장바구니 담은 종목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