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문가들 “거리두기 격상 한 발 늦어…더 강력한 조치 필요”

왕해나 기자I 2020.12.07 17:31:56

설대우 “마스크 착용 기준으로 시설 재평가”
김우주 “2주간 거리두기 3단계 격상 필요”
“당장 백신·치료제 효과 기대하긴 힘들어”

[이데일리 왕해나 기자]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600명을 넘어서면서 방역당국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2.5단계로 상향했지만 한 발 늦은 조치라는 지적이 나온다. 의약계 전문가들은 현 정책은 실효성이 적으며 거리두기 3단계 상향, 일부 시설 폐쇄 등 더욱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속한 치료제와 백신 도입 필요성은 있지만 이 역시 효과가 입증되기까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째 600명대를 기록한 7일 오전 서울 동작구 보건소에 마련된 선별진료소 앞에 검사 대기자들이 줄을 서 있다.(사진=연합뉴스)
7일 의약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거리두기 2.5단계 상향이 뒤늦은 조치였다고 입을 모았다. 설대우 중앙대 약학대학 교수는 “거리두기 단계는 올릴 때는 한 발 먼저 올리고 내릴 때는 한 발 늦게 내려야 하는데 거꾸로 됐다”면서 “더욱이 정부가 ‘2+α 단계’를 이야기하면서 스스로 만든 기준을 지키지 않아 국민이 정부를 신뢰하기 힘들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추운 날씨로 사람들이 실내에 모이는 점, 확산이 이미 광범위하게 일어나 확진자 수가 많아진 점, 활발한 경제활동을 하는 50대 이하 확진자가 많은 점 등 때문에 코로나19 확산세가 가라앉기는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우주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역시 “일일 확진자가 400~500명 수준이 된 게 일주일 전”이라면서 “2.5단계 상향을 1, 2주 전에 했으면 이렇게 확산되지는 않았을 텐데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코로나19 3차 대유행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더욱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설 교수는 마스크 착용 여부를 기준으로 모든 시설을 재평가해 제한적 운영을 할지, 폐쇄 조치를 할지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동네 소규모 카페와 식당은 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테이크아웃해서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운영해도 된다”면서도 “쇼핑몰, 극장 안 식당과 카페는 테이크아웃을 해도 쇼핑몰 어딘가에서 먹기 때문에 폐쇄 조치 해야한다”고 했다. 이어 “헬스장과 결혼식장 등은 마스크를 벗지 않는 조건에서 운영을 하되 2분의 1이나 3분의 1수준으로 이용자 수를 줄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거리두기 3단계 상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 상황에서는 거리두기 3단계를 2주 정도로 강력하게 시행해 확산세를 막고, 그 다음 조정하는 게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면서 “자영업자들이 힘들겠지만 확산세를 막아야 인명피해를 줄이고 경제도 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감염경로가 불투명한 환자가 늘어나는 것과 관련해서는 역학적 연관성이 없거나 약하더라도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 교수는 “사례 정의를 넓히고 확대해야 한다”면서 “해외에 다녀온 적이 없거나 직접적인 확진자 접촉이 없는 경우, 집단발생과 연계되지 않는 경우라 해도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검사 수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치료제나 백신이 나와도 당장 환자 수 감소는 기대하기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 예상이다. 김 교수는 “현재 확실한 치료제가 없어 (치료제가 나온다고 해도 환자 수 감소는) 크게 기대할 수 없을 것 같다”면서 “미국에서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항체치료제도 중증환자에게 효과가 떨어지고 증상 악화만 다소 막는 것으로 알려져있다”고 설명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신속성과 안전성을 모두 고려해 백신을 도입해야 한다”면서 “‘우리나라는 백신 확보를 못 했다’는 등의 보도는 협상력을 떨어트릴 뿐이므로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비상

- 전국 교정 시설 코로나 누적 확진자 1238명…동부구치소 10명 추가 - “담배 피우고 싶어”…코로나 격리 군인, 3층서 탈출하다 추락 - 주 평균 확진자 632명, 거리두기 완화 기대 커졌지만…BTJ열방센터 등 '변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