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전 유성복합터미널 조성사업, 10년간 돌고 돌아 제자리

박진환 기자I 2020.09.21 15:19:16

대전도公, PF대출 실패 민간사업자 KPIH와 협약 해지
대전시 "공영개발 등 내달까지 구체적 방안 마련 발표"
지역 대형현안사업의 실패로 정치·행정적 파장 불가피

대전 유성복합터미널 조성 사업 조감도. 그래픽=대전시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지난 10년간 공전을 거듭했던 대전 유성복합터미널 조성 사업이 또다시 좌초했다.

사업 주체인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는 공영개발 등 실행 가능한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지만 이에 대한 정치·행정적 파장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 사업의 실패 원인이 1차적으로는 민간사업자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실행하지 못해서이지만 사업자 선정부터 진행 과정에서 보여준 대전시의 전략적 부재도 실패의 단초가 됐기 때문이다.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 등에 따르면 대전도시공사는 지난 18일 유성복합터미널의 민간사업자인 ㈜케이피아이에이치(KPIH)와의 사업협약을 해지했다.

이어 대전도시공사는 사업 협약 해지에 대한 내용을 KPIH 측에 내용증명으로 최종 통보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KPIH는 2018년 유성복합터미널 조성 사업의 우선사업자로 선정됐다.

그러나 KPIH가 사업비 조달을 위한 PF 대출에 어려움을 겪었고, 지난 5월 대전도시공사는 KPIH 측에 대출 정상화를 최고(催告) 조치를 단행했다.

이후 변경협약을 통해 사업 정상화를 촉구했지만 최종 이행이 불가능해지면서 유성복합터미널 조성 사업은 사실상 중단됐다.

이에 대해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는 21일 대전시청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사업 정상화를 위한 방안을 발표했다.

한선희 대전시 교통건설국장은 “민간이나 민관 합동, 공사에서 직접 투자하는 공영개발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내달 중 발표하겠다”며 “어떤 방안으로 해야 사업 실현 가능성이 크고, 가장 빠르고, 시민이 만족할 수 있는 규모로 건립할 수 있을지 등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영개발 방식은 일부 편의·상업시설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기본이 터미널 사업이어서 민간보다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며 “당초 2024년 준공 예정이었지만 민간 개발이면 4년 이상 더 걸리고, 공영 개발은 사업 규모가 작아서 1년 가량 기간이 늘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시득 대전도시공사 사업이사는 “사업시행자로서 총체적인 책임을 통감하고, 거듭 죄송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 유성복합터미널 조성 사업은 총사업비 7158억원 규모로 2010년 최초 민간사업자 공모 이후 2011년, 2013년, 2018년에 이어 이번까지 4차례 모두 실패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