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여의도·용산 ‘통개발’ 보류 입장 변함 없어”

정병묵 기자I 2019.01.16 15:44:22

16일 서울시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밝혀
4개년 계획에 포함된 여의도·용산개발 해명

박원순 시장이 16일 시청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여의도·용산 통 개발’ 보류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박원순 시장은 16일 시청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지난해 잠정 연기한 여의도 용산 개발 재추진 여부에 대한 질문에 “작년에 한 보류 조치는 변함이 없다”며 “부동산 가격이 완전히 안정되지는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잘라 말했다.

박 시장은 작년 7월 리콴유 세계도시상 수상차 방문한 싱가포르에서 “아파트 재건축이 진행 중인 여의도를 새로운 신도시에 버금가게 만들 여의도 마스터플랜을 고민하겠다”고 언급했다. 여의도·용산 개발은 당초 서울시 계획에 있었던 사안이었지만 박 시장의 이 발언 이후 부동산 시장이 들끓기 시작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7월 0.59% 올랐던 서울 아파트값은 8월 0.80% 뛰더니 9월에는 2.85% 폭등했다. 10월에도 1.43%나 올랐다가 11월(0.40%)부터 진정됐다.

상황이 이렇자 박 시장은 다음달인 8월26일 서울시청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주택시장이 안정화될 때까지 여의도·용산 개발계획 발표와 추진을 보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의도·용산 마스터플랜 추진 발언이 서울 집값 상승 원인으로 지목되자 한발 물러선 것이다.

앞서 지난 10일에도 박 시장이 발표한 ‘서울시정 4개년(2019~2022년) 계획에 여의도와 용산 개발계획이 포함돼 있어 일시적 보류가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됐다. 이날 박 시장은 “서울시의 정상적 발전을 위해 최근 발표한 4개년 계획 등 해야 할 일은 하겠다”고 언급했다. 시는 지난 10일 ‘서울시정 4개년(2019~2022년) 계획’을 발표, 오는 2022년까지 서민주거 안정을 위해 공적임대주택(공공임대·공공지원) 24만가구를 비롯해 혁신형 공공주택 모델 도입을 통한 도심 내 8만 가구를 추가 공급하기로 했다.

특히 지난해 서울 집값 급등의 진앙이 됐던 여의도와 용산 개발계획 등도 계획에 들어 있었다. 서울시는 용산 전자상가 일대에 200억원을 들여 창업거주복합시설을 세우는 Y밸리 사업과 여의도·마포에 블록체인과 핀테크산업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