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전셋값…한달새 2400만원↑, 평당 8000만원도 넘어

김미영 기자I 2020.12.02 16:43:01

KB주택가격동향…11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 5.6억
전달보다 2390만원↑…최저임금 노동자 연봉 뛰어넘어
트리마제·래대팰·아리팍 등 평당 8000만원 돌파

[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지난달 서울 아파트의 평균 전셋값이 올해 최저임금을 받는 노동자 연봉보다 더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일부 지역에선 3.3㎡당 전셋값이 8000만원을 넘어서는 등 전세품귀 속 가격 급등세에 ‘미친 전셋값’이란 말이 나올 정도다.

‘전세는 어디에…’ 한국감정원이 1일 발표한 11월 ‘전국주택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세종시의 전셋값이 4.30% 올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날 오후 세종시의 한 공인중개사 유리창에 붙은 아파트 매매가격표를 한 시민이 바라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달새 오른 전셋값, 최저임금으로 1년 벌어도 못 따라가

2일 KB국민은행 리브온의 월간 KB주택가격동향을 보면 11월 서울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5억6069만원으로, 전달(5억3677만원)보다 2390만원 올랐다. KB국민은행이 이 통계를 공표하기 시작한 2011년 6월 이후 9년 5개월 동안 가장 큰 상승액이다.

이는 올해 최저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1년 동안 받는 연봉보다도 많은 금액이다. 올해 최저임금은 시간당 8590원, 월급으로는 179만5310원으로, 연봉으로 환산하면 2154만3720원이다. 최저임금 노동자가 1년 동안 돈을 벌어도 한달 사이 오른 전셋값을 따라잡지 못한다는 얘기다.

특히 ‘강남 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은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전용면적 86.7㎡ 아파트를 기준으로 보면 지난달 송파구 전셋값이 평균 4574만원 올라 서울에서 상승액이 가장 컸다. 강남구는 평균 4270만원 올랐고 △성동구(2910만원) △마포구(2760만원) △강동구(2727만원) △강서구(2719만원) △용산구(2542만원) △양천구(2480만원) 등 순이었다.

전문가들은 세입자의 권리를 강화한 새 임대차법이 본격 시행된 8월 이후 제도 초기 부작용으로 전세품귀 현상이 심화해 이처럼 전셋값 폭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본다. 세입자 대부분이 계약갱신청구권을 활용해 기존 주택에 2년 더 눌러앉아, 시중에 나오는 전세 물건은 줄어드는데 전월세상한제로 전셋값을 2년에 5% 이상 올리지 못하게 된 집주인들이 4년치 보증금을 미리 올려받으려 해 전셋값이 급등하고 있단 해석이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8월 5억1011만원으로 처음 5억원을 돌파했고,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지난달까지 4개월 동안 6146만원이 오르면서 기염을 토했다.

강남·서초·성동구 등지서 속속 3.3㎡당 8000만원 돌파

부동산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있는 ‘트리마제’는 지난 6일 전용 49.67㎡가 보증금 13억원에 전세 계약되면서 3.3㎡당 전셋값이 8653만원을 찍었다. 같은 구 행당동의 ‘서울숲리버뷰자이’(임대) 전용 36.06㎡도 지난 8월 29일 9억원에 전세 거래가 이뤄져 3.3㎡당 전셋값이 8250만원에 달했다.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8046만원), 같은 구 청담동 ‘청담자이’(7999만원),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7783만원)도 지난 10월과 11월에 이뤄진 계약의 3.3㎡당 전셋값이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서울 아파트 3.3㎡당 전셋값이 5000만원을 넘은 단지는 지난해 55곳에서 올해 들어 지난 1일까지 89곳으로 늘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세 매물 품귀 현상이 현실화하면서 전셋값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며 “공급 물량이 증가해야 전셋값도 안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