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마켓인]'1조' 몸값 노리는 에이블리, 매각설에 휘말린 이유

송재민 기자I 2024.02.22 18:32:36

M&A로 몸집 키우기 경쟁판된 커머스 시장
네이버 주요 수익원 된 커머스…전체 매출 26%
쿠팡과 2강…점유율 30% 달성 위한 발판 필요성
출범 5년 에이블리 흑전 성공에 다음 행보 관심 겹쳐

(사진=이미지투데이)
[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 1조 몸값을 자랑하는 패션플랫폼 에이블리가 매각설에 휘말렸다. 지난해 시리즈C 투자를 유치하며 몸값을 훌쩍 키운 에이블리는 최근 실적 성장까지 이루면서 인수합병(M&A) 대상으로 매력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네이버가 패션 플랫폼 에이블리를 운영하는 에이블리코퍼레이션 인수를 두고 저울질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네이버 인수설’이 나온 건 최근 네이버가 이커머스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장하고 입지를 키워가는 데 속도를 높이는 등 행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커머스 분야는 네이버의 주요 수익원 중 하나가 됐다. 지난해 네이버의 커머스 사업은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며 연간 매출이 전년 대비 41.4%가량 증가했다. 커머스 사업은 지난해 네이버의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6% 수준으로 ‘4대 신성장 동력’으로 불리는 커머스·핀테크·콘텐츠·클라우드 중에서도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중국 커머스 플랫폼 업체들의 한국 진출에 국내 이커머스 업계 전체가 긴장하고 있는 만큼 M&A를 통한 경쟁성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의 해석이다. 이미 국내 시장은 중국 직구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의 초저가 공세에 밀리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점유율 1·2위를 선점하고 있는 쿠팡(24.5%)과 네이버쇼핑(23.3%) 양강구도도 재편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 이커머스에 대항하는 것뿐 아니라 쿠팡과 네이버 간의 이커머스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도 격화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쿠팡과 네이버가 점유율 30% 달성을 주요 목표로 두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보고 있다. 쿠팡과 네이버의 경쟁은 M&A를 통한 몸집 불리기 양상으로 이어져 네이버는 지난 2022년 미국 패션 개인간거래(C2C) 플랫폼 ‘포쉬마크’를, 쿠팡은 지난해 말 명품 의류 플랫폼 ‘파페치’를 각각 인수했다.

여기에 최근 큐텐이 티몬·위메프·인터파크 등을 잇따라 인수하며 추격해오자 네이버가 에이블리를 인수해 패션 커머스 사업을 강화할 수 있을 거란 추측이 나온 것이다. 이에 더해 에이블리도 1조 몸값을 앞두고 흑자전환까지 이루면서 다음 행보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던 시점이었다.

에이블리는 그간 투자 혹한기에도 불구하고 대형 VC들로부터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해왔다. 에이블리가 유치한 누적 투자 금액은 전략적 자금 조달 방식인 벤처 대출 500억원을 포함한 2230억원으로 여성 쇼핑 업계 최대 규모다. 그간 투자를 유치한 벤처캐피탈(VC)로는 LB인베스트먼트(309960)·코오롱인베스트먼트·KDB산업은행·신한벤처투자·스틱벤처스·SV인베스트먼트(289080)·캡스톤파트너스(452300) 등이 있다.

VC들의 투자와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에이블리 지난해 5년간 이어지던 적자고리를 끊어내고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지난 2022년까지 영업손실 744억원을 내던 에이블리는 지난해 월간 손익분기점(BEP)을 달성하며 이후 매월 영업이익 최고치를 기록했다. 에이블리와 월간 활성 사용자수(MAU) 1·2위를 다투는 무신사의 기업공개(IPO)가 시장의 예상과 달리 지연되면서 에이블리도 IPO가 아닌 M&A 가능성에 무게가 실렸다.

업계 한 관계자는 “네이버가 최근 커머스 부문 성장에 힘입어 최대 실적을 경신하면서 커머스 사업에 집중하겠단 계획을 밝혀 인수설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양사는 인수 관련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