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野 윤준병 "농어촌상생협력기금, 목표액의 30% 수준"

김유성 기자I 2023.10.04 18:21:31

2017년 기금 시작 이후 조성 금액 총 2147억원
올해까지 목표치 7000억원, 30% 조성에 그쳐
윤 의원 "참여 독려할 수 있는 유인 기제 無"

[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지난 2015년 농어촌과 공공·민간부문의 자발적인 상생협력을 추진하기위해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을 조성하고 있지만, 정작 2017년 이후 현재까지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이 목표액의 3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이데일리)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 및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농어촌상생렵력기금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7년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을 조성하기 시작한 이후 올해 8월까지 조성된 금액은 총 2147 억원으로 집계됐다.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은 지난 2015년 자유무역협정 (FTA) 체결에 따라 농어입인 등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된 기금이다.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농어업인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 18조 2항에 기금 용도를 명시해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이 농어촌 지역과 함께 가치창출을 하도록 했다.

하지만 연 1000 억원씩 10년간 1조원을 조성하겠다는 당초 목표와는 달리 현재 기준(목표액 7000억원) 대비 실제 조성된 금액은 30.1% 에 불과했다.

더욱이 공공기관 113곳이 조성한 기금액은 1348억원으로 전체 62.8%에 달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민간기업 173곳은 792억원(36.9%)을 납부하는 데 그쳤다.

또 2019년 이후 매년 증가하고 있던 농어촌상생협력기금액도 작년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 실제 2019년 225억9300만원을 조성한 것에 이어 △2020년 375억9500만원(전년 대비 66.4% 증가) △2021년 455억2500만원(전년 대비 21.1% 증가) 등 매년 증가했지만, 2022년 조성액은 354억1700 만원으로 전년대비 22.2%가 감소했다.

윤준병 의원은 “민간부분에서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을 조성하는 데 미온적인 이유 중 하나로 기금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이 공유되지 않고, 정부가 민간기업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유인기제를 제대로 발굴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조한 기금으로 농어촌에 실질적인 지원도 이뤄지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만큼 소멸 위기에 놓인 농어촌이 상생과 협력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정부는 보다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