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시민단체 "남영동 대공분실을 시민 품으로 돌려 달라"

김성훈 기자I 2018.01.25 15:04:05

용산시민모임, 남영동 대공분실서 기자회견
"대공분실 인권 소중함 되새기는 공간 거듭나야"
1인시위·시민선언문 靑전달 등 활동 이어갈 것

박종철열사기념사업회와 용산시민연대, 용산희망나눔센터, 전국공무원노동조합용산구지부 등 11개 시민사회단체로 이뤄진 ‘용산시민모임’은 25일 오후 2시 옛 남영동 대공분실(경찰청 인권센터)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ㅅ진=김성훈 기자)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7도까지 떨어진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옛 남영동 대공분실(경찰청 인권센터) 철문 앞에 시민 10여명이 모여들었다. 살을 에는 추위 속에서 이들은 “민주화 운동을 벌이다 쓰러져 간 수많은 인사들의 피와 땀이 서린 남영동 대공분실을 시민의 품으로 돌려야 한다”며 “정부가 나서 남영동 대공분실을 시민의 품으로 돌리는 작업에 나서야 한다”고 호소했다.

박종철열사기념사업회와 용산시민연대, 용산희망나눔센터, 전국공무원노동조합용산구지부 등 11개 시민사회단체로 이뤄진 ‘용산시민모임’은 이날 오후 2시 기자회견을 열고 남영동 대공분실에 대한 인권 기념관 운영을 한목소리로 외쳤다.

이들은 “1987년 6월 항쟁 30년이 지난 지금도 (남영동 대공분실은) 경찰이 운영하는 인권센터에 머물러 있다”며 “주변에 사는 시민조차 남영동 대공분실이 어디 있는지 모를 정도로 껍데기뿐인 공간에 머무르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학규 박종철열사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은 “민주주의와 인권탄압의 상징인 남영동 대공분실이 인권에 대한 소중함을 되새기는 공간으로 거듭나야 함에도 여전히 경찰의 홍보 공간에 머물고 있다”며 “국민들께서 이곳이 인권기념관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힘을 모아달라”고 말했다.

민주열사 박종철기념사업회는 이달 2일부터 남영동 대공분실에 시민사회가 운영하는 인권기념관을 설립하자는 내용을 담은 청원 운동을 청와대 국민청원 페이지에서 시작했다. 지난 22일부터 시민들이 돌아가며 남영동 대공분실 앞에서 1인 시위도 벌이고 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남영동 대공분실은 끊임없이 저항하며 민주화를 만들어온 시민의 품으로 돌아가는 게 맞다”며 “시민들과 학생들이 이곳을 찾아서 올곧은 민주화 운동과 인권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찰은 남영동 대공분실 운영방안과 관련해 “시민 단체에서 △시민단체 운영 △기념관 목적 강화 △접근성 개선 △고문 피해자 트라우마 치유할 치유센터 설립 등 네 가지안을 제시했다”며 “(경찰청 치안센터는) 국가 건물이어서 무상임대가 안 되는 측면이 있지만 실정법이 허용하는 선에서 그분들의 뜻에 맞고 유익한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