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기재부 "판문점 선언 후 GTI에 北 인력 파견? 사실무근"

최훈길 기자I 2018.05.04 16:12:21

"北 연구원, 2013년부터 근무 중"
김동연 "북미회담 봐야..차분하게 준비"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북한이 판문점 선언 이후 다자간 협의체인 ‘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Great Tumen Initiative)’ 사무국에 인력을 파견했다는 관측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4일 입장문을 통해 “GTI 사무국에 확인한 결과 판문점 선언 이후 북한이 GTI 사무국에 인력을 파견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기재부는 “2013년부터 북한 국적 소지자가 개인 자격으로 GTI 사무국 공모절차에 따라 채용돼 근무 중”이라고 덧붙였다.

기재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북한은 GTI 회원국에서 탈퇴했기 때문에 이 사무국에 인력을 파견할 수 없다”며 “개인 자격의 연구원 한 명이 근무하는 것을 판문점 선언 이후 파견한 것으로 오해한 것 같다”고 전했다. 기재부는 국제기구, 남북경제협력 관련해 총괄 업무를 맡고 있다.

앞서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 2일 월례 기자간담회에서 “국제사회의 합의 등에 따라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가지고 내부적으로 준비하고 있다”며 “남북 경협은 북-미 정상회담 등 국제사회의 합의가 진행되는 과정을 봐야 하기 때문에 너무 앞서 나가는 얘기는 할 수 없고, 차분하고 질서 있게 준비를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GTI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경제개발을 위해 2005년에 출범한 지역협력 회의체다. 한국, 중국, 러시아, 몽골 등 4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북한은 2009년에 이 협의체에서 탈퇴했다.

남북 정상회담

- 북미회담 앞두고 북중 회동..北협상 카드 얻고 中존재감 높이고 - 홍준표 “文정부, 많이 걷어야 北에 퍼줄 것 있으니 세금폭탄” - 文대통령, 9일 리커창 총리와 정상회담…한반도정세 의견 교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