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힘겹게 반등 이뤄낸 尹대통령 지지율…이태원 참사 수습 시험대

김영환 기자I 2022.11.01 16:14:52

이태원 참사 뒤 윤대통령 사고 수습에 매진
4개월 만에 30% 중반대를 기록한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
이태원 참사 이전인 28일까지의 조사결과
갑작스러운 이태원 참사에 다시 지지율 출렁일 듯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4개월 만에 지지율 30% 중반대를 회복한 윤석열 대통령이 또 하나의 고비를 맞게 됐다. ‘이태원 참사’로 다시 한번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1일 오전 국무회의를 마치고 국무위원들과 함께 서울 지하철역 녹사평역 앞에 마련된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를 찾아 조문했다. 지난달 31일 김건희 여사와 분향한 이후 이틀 연속 방문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국무위원들이 1일 서울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 마련된 ‘핼러윈 인파’ 압사 사고 희생자 추모 공간을 찾아 추모하고 있다.(사진=방인권 기자)
윤 대통령은 조문록에 “슬픔과 비통함 가눌 길이 없습니다. 다시 이런 비극을 겪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국무회의에서도 이태원 참사 등 안전사고에 대한 책임과 재발 방지에 발언의 대다수를 할애했다.

윤 대통령이 이처럼 이태원 참사 수습에 집중하는 것은 집권 반년도 채 되지 않아 8년여전 세월호 참사에 필적할 만한 대형 사고가 터지면서 이번 사태 수습과 대응에 대한 평가가 윤석열 정부의 여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사고 발생 직후 행정부에 지시를 내렸는가 하면 사태가 점점 심각해지자 용산 대통령실 위기관리센터로 나와 긴급 상황점검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이후에도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상황실로 이동해 상황을 직접 살폈다.

대통령실도 윤 대통령의 이 같은 적극적 대처를 실시간으로 알렸다. 윤 대통령의 지시 내용과 동선을 시시각각 공개하는 등 대통령실은 대형 참사에 신속히 대처하는 윤 대통령의 모습을 적극 내세웠다.

지난 2014년 세월호 참사에서 박근혜 당시 대통령이 미흡한 초동 조치로 지지율이 급락하고 결과적으로 정홍원 국무총리가 사임했던 과거와 대비되는 모습이다. 블룸버그 등 외신은 당시 사례가 이번 정부에서도 재현될 수 있다고도 보도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5월 취임 당시 51% 전후 지지율을 기록했는데 이후 지지율은 하향곡선을 그렸다. 그나마 지난달 31일 발표된 리얼미터 집계에서 35.7%를 기록하면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4개월여 만에 35%선을 회복한 것이다.

다만 당시 여론조사는 28일까지 집계된 결과여서 이태원 참사의 영향권 밖이었다. 사고 이후 윤석열 정부의 대처 여하에 따라 이번 주 지지율 조사는 또다시 크게 출렁일 가능성이 높다.

핼러윈을 앞두고 이태원 일대에 대형 압사 참사가 발생한 30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일대를 찾은 윤석열 대통령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더욱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나 박희영 용산구청장의 면피성 발언이 여론의 질타를 받으면서 윤 대통령에게는 행정부를 관리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 장관은 “경찰과 소방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다”는 발언으로 여당 내에서도 문제를 지적받고 있다.

주요 외신은 이태원 참사에 대해 ‘인재’라는 쪽에 무게를 싣고 보도하고 있다. 코로나19 규제가 풀린 이후 처음 맞는 핼러윈 축제에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지만 관계 부처의 사전 예방 조치가 충분치 않았다는 것이다.

뉴욕타임스(NYT)는 (핼러윈 당시) 이태원 상황은 최근의 정치적 시위 현장에서 민간인보다 경찰이 많은 것처럼 보인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고 보도했다. 영국 BBC도 핼러윈 당시 인원 제한이 없었던 점을 들어 군중 통제 조처가 취해졌는지 꼬집었다.

블룸버그는 미 중앙정보부(CIA) 출신 김수 랜드코퍼레이션 정책분석가의 발언을 인용해 “현 정부의 사건 수습과 대응을 여야 모두 주목하고 있다”며 “사소한 실수나 착오도 현 정부의 무능함을 보여줄 수 있다”고 봤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2.0%포인트다.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전화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4.2%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