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정과제' 펫보험 활성화 방안 나온다

노희준 기자I 2023.04.28 15:00:00

반려동물 진료·등록체계 인프라 구축
보험·수의업계 협력 강화 방안 포함
800만 반려동물...펫보험 가입률 1%뿐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금융당국이 보험 분야의 유일한 국정과제인 펫보험(반려동물 보험) 활성화 방안을 조속히 내놓는다. 방안에는 반려동물 관련 진료와 등록체계 인프라 구축, 보험업계와 수의업계 제휴 협력 강화 방안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자료=보험연구원)
보험연구원은 28일 서울 광화문 코리안리빌딩에서 ‘반려동물 헬스케어 산업과 보험의 역할 강화 세미나’를 열었다. 행사는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손해보험협회 등이 후원하고 여러 관계기관 및 이해관계자가 참여해 정부가 준비중인 펫보험 활성화 방안의 의견수렴 창구 성격이 컸다.

펫보험은 사람의 실손의료보험처럼 개나 고양이가 다쳤을 때 치료비용을 제공하는 보험을 말한다. 반려동물 인구와 반료동물이 늘어나 진료비에 대한 고민이 증가하면서 이를 덜어줄 수 있는 펫보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말 개와 고양이는 799만마리로 추산된다. 고령화, 1인가구 증가 추세와 반려동물 증가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이지만, 펫보험 가입률은 1%가 채 안 된다. 이는 스웨덴(40%), 영국(25%), 노르웨이(14%), 미국(2.5%)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기준 펫보험 보유계약은 7만2000건, 원수보험료는 287억5000만원 수준이다. 펫보험 원수보험료는 전체 손해보험의 0.024% 수준에 그친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반려동물 진료항목·등록제 관련 인프라가 아직 부족해 보험상품 개발에도 한계가 있는 측면이 있다”며 “펫보험이 반려동물 양육비·진료비 경감과 관련 산업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반려동물보험가입 시 개체 식별 및 연령판별에 활용될 수 있는 반려동물 등록률은 50% 내외다. 반려동물 등록에는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삽입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부작용 우려가 문턱이 된다는 지적이다. 동물병원의 질병코드·진료항목이 표준화돼 있지 않고, 동물병원간 진료비 편차가 존재하는 등 반료동물 진료 인프라도 부족한 상황이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펫보험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 차원에서의 관련 인프라 구축 노력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며 “정부는 반려동물 등록률과 유효성을 높이고 진료항목 체계 등 개선을 위해 관계부처와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했다.

김 부위원장은 “보험사와 동물병원의 제휴를 통해 간편하게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보험도 가입하면서 청구서류도 전송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면 한층 편리해 질 것”이라며 “소비자는 다양하고 저렴한 보험상품을 이용하고 동물병원 및 관련 산업계는 펫 산업 시장 확대를 통해 수익성 제고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까지 다빈도 진료항목 60개에 대한 진료 표준화를 추진하고 2024년까지 총 100개 항목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진료 투명성을 높이고 반려동물 등록률 제고 등 펫보험 활성화 기반 구축에 노력할 방침이다.

세미나에서는 다양한 펫보험 활성화 방안이 제시됐다. 보험회사 스타트업 스몰티켓의 김정은 대표는 “해외는 펫 전문보험사 주도로 펫 보험 시장이 성장 중”이라며 “국내에서도 반려동물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에 강점을 가진 전문 플레이어가 진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갸령 일본은 애니콤(Anicom)과 같은 펫보험 특화 손해보험사를 중심으로 펫보험 시장이 활성화돼 펫 보험료 수입보험료가 연 8400억원, 가입률 12.2%, 연평균 19.2% 성장을 기록 중이다.

매력적인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강상욱 삼성화재 수석은 “진료항목 정비와 반려동물 등록 확대, 청구 편의성 제고 등 인프라 구축에 기반해 보장범위가 넓고 다양하면서 합리적인 보험료 수준의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은주 메리츠화재 수석도 “반려동물 의료비 등 부담에도 충분히 대비하고 있는 반려인들은 많지 않은데, 보험사가 소비자에게 매력적이면서도 합리적인 상품을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며 “보험사가 동물병원과 제휴관계 구축 등을 통해 보험금 청구 시스템 개선, 진료기록·서류 확인, 동물병원에서 반려동물보험 판매 확대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선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생체인식 등 신기술 동물등록을 허용해 반려동물 등록률을 제고해야 한다”면서 “보험회사 제휴 동물병원의 반려동물 등록대행업무 활성화를 통해 등록률 제고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