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마켓인]또 회사채 수요예측 미달…주관 증권사 인수부담 어쩌나

박정수 기자I 2022.02.16 16:58:35

연초 이후 5개 발행사 수요예측 미매각
4건이 KB증권 대표 주관…수요예측 미달 3600억
여천NCC·한토신 등 인수부담
투심 악화에 추가 미매각 우려↑…“현 수준도 부담”

[이데일리 박정수 기자] 금리 불확실성에 회사채 시장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수요예측 미달이 잇달아 속출하고 있다. 특히나 채권발행시장(DCM)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는 KB증권의 경우 미매각으로 떠안게 되는 채권이 빠르게 늘고 있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5일까지 공모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총 5건의 미매각이 발생했다. 씨제이프레시웨이(051500)(신용등급 A0), LS전선(A+) 등 1월에 2건, 미래에셋자산운용(AA0), 여천NCC(A+), 한국토지신탁(034830)(A0/A-) 등 2월에 3건이다.

한 증권사 DCM 담당자는 “작년 하반기부터 지속된 금리 상승 기조가 올해까지 이어지자 회사채 시장을 넘어 금융시장 전반적으로 투자심리가 얼어붙고 있다”며 “예상했던 수준 이상으로 금리 상승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기관투자가 참여가 소극적으로 변했다”고 말했다.

눈에 띄는 점은 미매각 5건 가운데 씨제이프레시웨이 1건을 제외하고 나머지 4건에 KB증권이 대표 주관사로 참여했다는 것이다. 4건 수요예측 미달 물량만 3600억원에 달한다.

LS전선의 경우 지난달 21일 3년과 5년물 각각 600억원씩 수요예측을 진행했으나 5년물 매수 주문이 300억원에 불과해 미달이 발생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8일 수요예측을 진행했고 3년물 1500억원 모집에 1100억원이 모여 400억원의 미달됐고 5년물은 500억원 전액 미매각이 발생했다.

여천NCC의 경우 3년물 1200억원, 5년물 800억원 모집에 단 한 곳의 기관투자가도 매수 주문을 넣지 않았다. 지난 15일에 수요예측을 진행한 한국토지신탁은 2년물 600억원 모집에 400억원, 3년물 400억원 모집에 200억원의 매수 주문으로 미달이 발생했다.

LS전선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경우 3년물 주문액을 고려해 주관사단이 추가 청약을 진행, 다행히 인수단이 미매각 물량을 떠안지는 않았다. LS전선은 5년물을 300억원으로 줄이고 3년물을 900억원으로 늘려 발행을 마무리 지었고, 미래에셋자산운용은 3년물로만 2000억원어치 발행했다.

다만 여천NCC는 추가 청약과 리테일 영업에 성공할지는 미지수다. 여천NCC는 여수산단 내 공장 폭발 사고에도 무리하게 수요예측을 진행해 기관들이 참여를 거부한 상태인 데다 현재 고용부에서 여천NCC 경영책임자의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도 따지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여천NCC 미매각 물량은 대표주관사와 인수단이 모집액을 모두 떠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KB증권이 부담하는 물량만 400억원(3년물 300억원, 5년물 100억원)에 달한다.

한국토지신탁의 경우 KB증권이 단독으로 주관 업무를 맡은 탓에 추가 청약 실패 시 미매각 물량은 전액 부담할 것으로 보인다. 한 증권사 채권딜러는 “차입형 토지신탁 사업 업황 악화로 한국토지신탁은 기관투자가들이 꺼리는 발행사”라며 “재무 레버리지 관리 부담도 지속되고 있어 추가 청약에 성공할지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결국 한국토지신탁 물량까지 고려하면 연초부터 KB증권의 인수부담 물량은 800억원에 달한다.

한 증권사 DCM 담당자는 “DCM 시장은 선두인 KB증권과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3개사 점유율이 높다”며 “KB증권의 향후 회사채 주관 물량과 회사채 시장 투자심리를 고려하면 추가로 미매각이 나올 수도 있기 때문에 현재 인수 부담이 큰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금리가 지속해서 오를 수도 있어서 회사채 미매각 인수 물량이 늘어나면 평가손 우려 또한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KB증권이 주관사로 참여해 이달에만 수요예측을 앞둔 발행사는 A급 이하만 7곳(현대케피코 A+, 현대중공업지주(267250) A- , 한국콜마(161890) A- 등)에 달한다.

KB증권 관계자는 “여천NCC와 한국토지신탁은 회사채 발행 진행 중이다”며 “미매각 인수 물량을 현재 확인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