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북한 해킹 저격한 尹 "사이버 10만 인재 양성 프로젝트"(종합)

권오석 기자I 2023.10.12 16:56:14

청와대 영빈관서 ‘청년 화이트해커와의 대화’ 시간
"北, 핵 미사일 개발 중요 자금줄로 사이버 불법 활동"
"사이버 인재 양성, 사이버 산업 역량 강화 더욱 힘쓸 것"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북한의 불법 해킹을 지적하며 “사이버안보는 무엇보다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민주주의를 지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청년 화이트해커와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청년 화이트해커 및 산·학·연·관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청년 화이트해커와의 대화’ 시간을 진행했다. 화이트해커란, 악의적인 해킹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해커를 뜻한다.

이날 행사에는 국내·외 주요 해킹방어대회 수상자를 비롯해 화이트해커 양성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중·고교·대학교 재학생, 군·검·경 등 주요기관 및 기업 재직자 등이 참석했다.

오찬과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최근 세계 최고 권위인 ‘데프콘(DEFCON) 국제해킹방어대회’에서의 2년 연속 우승 등 국내·외 해킹방어대회를 휩쓸고 있는 우리나라 청년 화이트해커들의 노력과 우수한 성과를 격려하고, 화이트해커 등 사이버 인재 양성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행사에 앞서 스마트시티를 모사한 모의환경에 대한 해킹 방어 시연을 참관하며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는 화이트해커의 역할과 중요성을 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북한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협하고 방해하기 위해서 핵 미사일 개발의 중요한 자금줄로 사이버 불법 활동을 왕성하게 전개하고 있다”며 “사이버상에서 무차별적으로 확대, 재생산되는 가짜뉴스 역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또 우리 경제와 행정의 안정을 늘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사이버안보가 위협받으면 경제와 금융에 심각한 교란이 생길 수 있다”며 “정부는 사이버 10만 인재 양성 프로젝트를 통해서 우수한 사이버 인재를 양성하고, 사이버 산업의 발전과 역량 강화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약속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사이버보안 기업들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도 조성할 것이다. 정보보호 산업을 국가의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면서 “청년 화이트해커 여러분, 여러분 한 사람 한 사람이 사이버안보의 중요한 전략 자산이다. 사이버 경찰관이다”고 추켜세웠다.

이날 행사에서는 사이버보안과 관련된 참석자들의 다양한 의견 개진도 진행됐다며 이도운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이희조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보안 전문가를 확보하는 것이 산업 경쟁력 강화뿐만 아니라 국가안보에 굉장히 중요한 요소”라며 관련한 국제 공동연구 및 교육 사업의 확대를 제안했다. 이에 백종욱 국정원 3차장은 우수한 화이트해커 양성이 시급한 과제라고 동의하며 국제 사이버훈련센터 설치와 함께 차세대 훈련시스템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답했다.

해군본부 사이버작전센터의 천준상 대위는 사이버 전문사관으로 복무하게 된 계기를 설명하며 여러 선배들과 국가의 도움으로 국제 해킹 대회에서 수상할 수 있었다고 감사를 표했다. 이에 박규백 국방부 사이버작전사령관은 청년 화이트해커들이 국가안보에 기여한다는 사명감과 자긍심을 느끼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사이버보안 업체인 ‘티오리’의 박세준 대표는 “지난 12년 동안 ‘데프콘 국제해킹방어대회’에서 7번 우승했는데 직접 이런 자리를 만들어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윤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했다. 정다연 중앙대 산업보안과 정다연 학생은 화이트해커의 꿈을 가지게 된 계기와 앞으로의 창업 포부에 대해 이야기 했으며, 또 사이버보안 업체인 ‘테이텀 시큐리티’의 양혁재 대표는 자신의 스타트업 창업 경험을 이야기하며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정부의 지원 확대를 요청했다.

이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정부의 ‘사이버 10만 인재 양성 방안’, ‘사이버보안 펀드’ 등 정부 정책을 소개하며 2027년까지 30조원 규모에 세계 5위권의 시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참석자들의 발언을 들은 윤 대통령은 “대통령이라는 자리는 국군 통수권자이고 또 국민의 안전을 지켜야 하는 최종적인 책임자”라며 “대통령이라면 당연히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깊은 관심을 가지고 국가 정책을 운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양질의 인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은 결국 민간이고 시장이라며 “사이버 보안 분야에 시장이 넓어지고 또 많은 인재들이 이 분야에 뛰어들어서 아주 넓게 운동장을 쓰고 뛸 수 있는 그런 시장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