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벌이나…"국제유가 150달러 찍을 수도"

경계영 기자I 2022.02.22 16:44:19

수급 빡빡한 국제유가…전쟁 우려까지 가중
미국EIA, 전월 대비 올해 유가 전망치 상향
에너지硏, 최악의 경우 유가 150달러 전망
항공유·선박유·경유도 일제히 오름세 우려↑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세계 주요 천연가스·원유 수출국인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125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원유와 천연가스 전량을 수입하는 국내 관련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2일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2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4월물 브렌트유는 배럴당 95.39달러로 전 거래일보다 2.0% 상승했다. 중동 두바이유 역시 같은 기간 1.6% 오른 배럴당 91.73달러를 기록했다. 브렌트유와 두바이유는 전년 동일 대비 각각 49.8%, 50.4% 오른 수준이다. 이날 미국 뉴욕상업거래소가 휴장했지만 서부텍사스산원유(WTI)도 1년 전보다 50% 넘게 뛰었다.

단위=배럴당 달러, 자료=페트로넷
공급 대비 빠르게 늘어난 수요 영향으로 이미 오르고 있던 국제유가에 더욱 기름 부은 것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 가능성이었다. 주요 산유국인 러시아가 원유와 천연가스를 공급하지 않는다면 에너지 대란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세계 원유와 천연가스 생산량의 각각 12%, 16%를 담당한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이달 발표한 단기에너지전망(STEO)에서 WTI와 브렌트유의 올해 전망치를 배럴당 각각 79.35달러, 82.87달러로 전월 전망치보다 각각 8.0달러, 7.9달러 상향했다. 지난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석유 재고가 26억8200만배럴로 2014년 중반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할 정도로 수급이 빡빡한 데다 우크라이나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까지 더해져 세계 석유 공급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커졌다는 판단에서다.

2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인근 지역에서 한 우크라이나 군인이 경계 근무를 서고 있다. (사진=로이터)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지난 15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러시아의 대(對) 유럽 석유·가스공급 차질이 일어나면 국제 에너지시장 불안, 가스대체 석유 수요 증가로 국제유가가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최고 15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봤다.

시나리오별로 보면 지정학적 불안이 지속될 땐 배럴당 75~85달러 수준이겠지만 군사 개입이 이뤄지고 주요 7개국(G7)의 러시아에 대한 고강도 금융·경제 제재가 부과되면 배럴당 100~125달러로, 러시아산 석유·가스의 대규모 공급중단 등 최악의 상황이 되면 배럴당 15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가가 100달러를 넘어선다면 2008년과 2011~2014년 이후 역대 세 번째가 된다.

당장 국제유가가 뛰면 물류비 부담이 커질 수 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항공유 가격은 18일 기준 배럴당 107.08달러로 한 달 전보다 3.9%, 1년 전보다 56.9% 상승했다. 캐나다 선박유 가격 정보업체 십앤드벙커(Ship and Bunker)를 보면 선박에 쓰이는 초저유황선박유(VLSFO) 세계 평균 가격 역시 톤(t)당 767.50달러로 전년 동일 대비 48%가량 올랐다. 오피넷을 보면 국내 휘발유와 경유는 21일 기준 각각 1736.5원, 1560.7원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석 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원유를 전량 수입해 제품을 만드는 정유업계나 석유화학업계 역시 부담이 될 수 있어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황규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무력 충돌 과정에서 우크라이나를 경유하는 원유 파이프라인이 일시 가동 중단될 수 있는 등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단기적으로 강세를 보일 수 있다”면서도 “국내 정유사와 석유화학사는 러시아와의 거래 비중이 크진 않아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봤다.

우-러 전쟁

- HD현대건설기계, 우크라이나 인프라부 1차관과 재건사업 협의 - "미 CIA, 우크라에 노르트스트림 파괴하지 말라고 경고" - 우크라이나 반격에 러시아도 맞불…푸틴 "적군 성공 못해"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