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4%만 전산시스템 보유'…ESG 공시 준비는 지금부터

김인경 기자I 2024.03.13 16:41:02

이데일리 ESG 의무공시 아카데미 개최
심재경 삼일회계법인 파트너
'SG 의무공시 대비, 기업 실무 포인트' 강연
"철저한 사전 준비 필요…기업 내 교통정리 있어야"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공시 의무화가 2026년으로 다가온 가운데 100대 대기업도 단 14곳 만이 ESG 전자시스템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은 시간 빠른 사전준비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이데일리 ESG 의무공시 아카데미가 13일 서울 중구 통일로 KG타워 하모니홀에서 열렸다. 심재경 삼일회계법인 파트너가 ‘ESG 의무공시 대비, 기업 실무 포인트’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13일 심재경 삼일회계법인 파트너는 서울 중구 통일로 KG하모니홀에서 열린 ESG 의무공시 아카데미에서 ‘ESG 의무공시 대비, 기업 실무 포인트’ 연사로 나서 이같이 밝혔다.

심 파트너는 “자율적으로 공시했던 ESG 정보가 표준화돼 의무공시된다는 것은 ESG가 자본주의의 새 축이 됐다는 것”이라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국제회계기준(IFRS), 유럽연합 CSRD 등에서도 공시 의무화를 위한 규제와 기준을 발표한 바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후변화 등에 대한 재무영향 분석이나 검증 가능한 정보의 인증 의무화 등 기준서의 요구사항이 까다로운 만큼,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요하다는 게 심 파트너의 주장이다.

뿐만 아니라 심 파트너는 “ESG 공시를 제대로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상장사 내부에서 어떤 부서가 어떤 역할을 맡을지 등 교통정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상황 속에 그는 ‘기후 공시 관련’ 토픽부터 준비해 점진적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결 공시를 위해 글로벌 공시기준 지표 풀세트를 최신화해 대응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준비해 둬야 한다는 설명이다. 특히 공시 콘텐츠를 도출하며 재무 영향을 측정하고, 기업이 직간접적으로 배출하는 탄소(스코프 1, 2) 등을 산정해 공시에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 세트를 만들어야 한다.

특히 그는 ESG공시에서 기업 활동이 외부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외부 사회와 환경이 기업에 재무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선정해 기준별로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테면 환경(E) 영역에서 온실가스배출량 관련 공시를 한다고 해도 온실가스의 총합을 어떻게 정의할지를 판단한 후, 종속회사의 공시를 더해 탄소배출량과 운용 효율성 등 평가지표를 마련하고 최근 추세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공시해야 한다. 이와 함께 확인가능한 데이터와 관리자 및 모니터링 책임자 등도 명시해야 한다.

심 파트너는 “현재 국내 100개 기업의 ESG 담당 임직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단 14%만 ESG전산시스템을 보유하고 있고 46%는 준비 중”이라며 “녹색분류체계(택소노미)를 활용해 지속가능한 매출, 자본적 투자, 운용비용으로 구성된 KPI 공시 준비를 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한편, 2026년 공시 시행 시점에 맞춰 투자자들에게 공시하기 위해서는 2025년부터 내부 공시 준비를 완비해야 한다. 이 일정을 맞추려면 올해부터 본격적인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특히 우리 수출 기업들은 미국, 유럽연합(EU)의 ESG 공시도 준수해야 한다. 준비가 부실해 허위 공시를 할 경우, 금융감독원이 페널티를 부과한다. 금융당국은 내달 글로벌 정합성을 갖춘 ESG 공시기준을 제시할 방침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